女 국회의원 19%·장관 33% ‘역대 최다’…맞벌이 가사, 아내는 3시간 남편은 54분

女 국회의원 19%·장관 33% ‘역대 최다’…맞벌이 가사, 아내는 3시간 남편은 54분

김승훈 기자
입력 2020-09-02 20:40
업데이트 2020-09-03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로 본 2020 여성의 삶

작년 女 1인 가구 309만… 男보다 많아
초혼연령 갈수록 높아져 작년 30.6세
이미지 확대
올해 여성 국회의원과 장관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성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절반을 넘으며 남성 1인 가구를 추월했다.

2일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양성평등 주간(9월 1~7일)을 맞아 펴낸 ‘202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올해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의원 300명 중 여성은 57명(19.0%)으로 가장 많았다. 지역구 국회의원 253명 중 여성은 29명으로 11.5%, 비례대표 국회의원 47명 중 여성은 28명으로 59.6%였다. 중앙행정기관의 장관도 19명 중 6명(33.3%)이나 됐다.

하지만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대조적이다. 2018년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여성은 8명(3.5%)으로, 2014년 9명(4.0%)보다 줄었다.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이 당선된 지역은 서울과 부산 각 3곳, 대전 1곳, 경기 1곳이다.

지난해 공공기관과 500명 이상 대기업(대규모 기업집단 중 300인 이상 포함)의 관리자 중 여성 비율은 19.8%로 집계됐다. 2009년 14.1% 대비 5.7% 포인트 상승했다. 공공기관보다 대기업 여성 관리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은 2009년 8.4%에서 지난해 18.8%로, 대기업은 2009년 15.2%에서 지난해 20.9%로 상승했다.

올해 여성 인구는 2583만 5000명으로 총인구(5178만 1000명)의 49.9%를 차지한다. 지난해 2579만 6000명보다 0.2% 늘었다. 가구 형태별로 여성 가구주는 648만 7000가구로 2010년(456만 9000가구)보다 42.0% 증가했다. 전체 남녀 가구주 중에서 여성 가구주가 차지하는 비율(31.9%)도 10년 전(26.1%)보다 5.8% 포인트 올랐다. 여성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309만 4000가구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전체 1인 가구 614만 8000가구의 50.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남성 1인 가구보다 더 많았다.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로 여성의 초혼 연령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0.6세로, 2010년 28.9세보다 1.7세 늘었다.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2015년 처음 30대에 진입한 이후 매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맞벌이 가구의 여성 가사 시간은 3시간 7분으로 남성(54분)보다 2시간 13분 더 많았다. 남편 외벌이 가구는 여성(5시간 41분)이 남성(53분)보다 4시간 48분, 아내 외벌이 가구는 여성(2시간 36분)이 남성(1시간 59분)보다 37분 더 집안일을 했다.

신생아가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인 기대수명은 증가세다. 2018년 출생한 여아의 기대수명은 85.7년으로 남아(79.7년)보다 6년 길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9-03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