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100년 대기획] 올림픽 경제효과

[한·일 100년 대기획] 올림픽 경제효과

입력 2010-03-03 00:00
업데이트 2010-03-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림픽은 경기 시설 등 사회 인프라 구축과 생산 유발, 관광수입 등으로 엄청난 경제 효과를 가져온다. 한국과 일본도 예외는 아니었다. 한·일 양국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잿더미에서 역경을 딛고 경제기적을 이룰 수 있었던 배경에는 올림픽이 가져다준 유·무형의 경제 효과가 크게 작용했다. 양국 모두 이른바 ‘올림픽 특수’의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1945년 8월 태평양전쟁이 끝난 뒤 일본 전역은 곳곳이 모두 파괴됐다. 하지만 일본은 1964년 도쿄올림픽을 준비하면서 경제도약의 발판을 착실히 다졌다. 일본은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데 주력했다. 이와 더불어 제조업과 건설업·서비스업·통신시설 등도 고속성장했다. 소니·캐논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올림픽 마케팅을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일본의 경제는 이후 10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10년간 세계경제성장률의 2배, 세계 수출증가율의 3배나 되는 고도 경제 성장을 경험하며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세계 경제대국으로 우뚝 서기도 했다.

한국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뤘다. 1950~53년 3년간 한국전쟁을 겪은 한국은 전 영토가 잿더미였다. 경제발전을 기약하기 힘들 정도였다. 하지만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고도성장을 경험한 한국은 서울올림픽을 통해 신흥공업국의 선두주자로 격상됐다.

한국 역시 서울올림픽을 준비하면서 공항, 고속도로, 지하철 등 사회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정비했다. 한국은 올림픽 개최로 총 26억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거뒀다. 올림픽으로 창출된 일자리도 33만 6000개에 달했다. 1980년대 내내 평균 10% 안팎의 경제성장률을 보인 한국은 마침내 세계 10대 경제대국의 대열에 당당히 진입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0-03-0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