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분의 소통 TED 2011] (5회) TED의 화두는 대한민국의 화두

[18분의 소통 TED 2011] (5회) TED의 화두는 대한민국의 화두

입력 2011-07-15 00:00
업데이트 2011-07-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작으로 선율·연주로 삶 표현… 테드의 힘은 ‘무언의 메시지’

‘세상에 퍼뜨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란 대체 무엇일까. 유명인의 강연은 일반인에 비해 훨씬 더 감동을 주는가. 음악가와 미술가가 왜 학자들과 함께 연단에 오르는가. 이런 궁금증들에 대해 해답을 얻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1일(현지시간)부터 15일까지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국제 콘퍼런스 센터에서 열린 ‘테드 글로벌 콘퍼런스 2011’은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테드 무대는 콘퍼런스가 거기서 거기라고 생각했던 선입견을 보기 좋게 깨 버렸다. 연사 한명 한명, 메시지 하나하나가 듣는 이들에겐 ‘영감’이자 ‘지식’이 됐다.

이미지 확대
테드(TED) 콘퍼런스의 총괄 큐레이터인 크리스 앤더슨(왼쪽)이 ‘제트맨’ 입스 로시와 무대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로시는 자기가 개발한 날개를 어깨와 등에 매달고 하늘을 나는 스위스인이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테드(TED) 콘퍼런스의 총괄 큐레이터인 크리스 앤더슨(왼쪽)이 ‘제트맨’ 입스 로시와 무대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로시는 자기가 개발한 날개를 어깨와 등에 매달고 하늘을 나는 스위스인이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이미지 확대
베스트셀러 ‘경제학 콘서트’의 저자이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칼럼니스트인 팀 하포드가 청중들에게 ‘도전과 실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베스트셀러 ‘경제학 콘서트’의 저자이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칼럼니스트인 팀 하포드가 청중들에게 ‘도전과 실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이미지 확대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비주얼 아티스트인 이모젠 힙이 웨스트잉글랜드대 톰 미첼 교수팀과 함께 만든 첨단 파이버 장갑을 끼고 온몸으로 노래를 표현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비주얼 아티스트인 이모젠 힙이 웨스트잉글랜드대 톰 미첼 교수팀과 함께 만든 첨단 파이버 장갑을 끼고 온몸으로 노래를 표현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이미지 확대
호주의 세계적인 성악가 다니엘 드 니스가 성악 아리아를 통해 삶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호주의 세계적인 성악가 다니엘 드 니스가 성악 아리아를 통해 삶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TED 제임스 덩컨 데이비드슨 제공




●‘말’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는 사람들

테드가 소통하는 방식은 입에서 귀로 전해지는 ‘말’이 아니었다. 12일 영국의 가수 겸 작곡가 이모젠 힙이 온몸으로 보여 줬다. 파이버 장갑을 끼고 나온 그가 손과 팔로 만들어내는 동작은 그대로 음악이 돼 객석으로 전해졌고, 관중들은 손 안에 모여진 소리를 눈으로 보고, 그가 특정한 방향으로 쏘는 소리를 따라가는 등 새로운 경험을 만끽했다. 웨스트잉글랜드대 톰 미첼 교수팀과 힙의 공동 작업으로 만들어진 이 장갑의 놀라움을 표시하는 데에는 어려운 기술적 용어 대신 노래 한 곡이면 충분했다. 행사를 독점 중계한 BBC는 “마이클 잭슨이 ‘문워크’를 선보였을 당시 끼었던 ‘라인스톤’(반짝이 장갑)이 음악사에서 가장 유명한 장갑으로서 지위를 내려놓는 순간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소프라노 다니엘 드 니스와 바이올리니스트 로버트 굽타는 노래와 연주로 이번 콘퍼런스의 주제인 ‘삶의 재료’를 표현했고, 이는 어떤 강연보다 더 확실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국내 ‘테드x 홍릉’ 운영자인 원세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행정원은 “단순히 쇼를 하기 위해서, 석학들의 강연에 흥을 돋우기 위해 배치된 양념이라고 생각했던 이들에게서 더 많은 감동을 받는 걸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기자 역시 그랬다.

●냉정한 반응과 기립박수

테드가 전 세계에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수천개의 동영상을 보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만한 것이 있다. 현장에서 연사를 직접 보고 있는 사람들의 기분이다. 70개국에서 모인 850여명의 청중은 강연에 너무나 솔직하게 반응했다. ‘빅샷’으로 불리는 유명인이라도 강연에 감흥이 없으면 박수를 치는 둥 마는 둥했고, 이름 없는 연사라도 내용에 공감하면 기립박수로 화답했다.

베스트셀러 ‘경제학 콘서트’의 저자로 이번 행사 최고의 유명인으로 관심을 모았던 팀 하포드는 불행히도 전자였다. 12일 무대에 오른 하포드는 “도전과 실수는 성공으로 가는 길”이라는 평범한 얘기로 일관했고, 청중들은 실망을 감추지 못했다. 미국에서 온 한 참가자는 “18분의 강의 내내 지루했고, 책보다도 못한 얘기만 늘어놓았다.”고 혹평했다.

하지만 분명한 메시지를 갖고 있거나 끊임없는 도전의 결과물을 선보인 사람들은 테드의 스타로 우뚝 섰다. 20년 이상 컴퓨터 바이러스를 추적해온 핀란드 보안전문가 미코 하이퍼넌은 “처음에 도스(DOS)에서 바이러스를 찾았을 때, 이름과 주소를 심어 놓은 것을 발견하고는 직접 찾아가 당사자를 만나 기념촬영을 했다.”면서 당시 사진을 공개했다. 하이퍼넌은 매초마다 한 개씩 바이러스가 만들어지는 세계지도를 보여주면서 “이제 바이러스는 국제적인 범죄지만, 인터폴은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폴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예산과 구체적인 조직까지 설명하자 객석은 일제히 기립박수를 보냈다.

●출신따라 전혀 다른 시각 드러내기도

강연자의 출신에 따라 세계를 보는 시각에도 극명한 차이가 드러났다. 니알 퍼거슨 하버드대 석좌교수는 “서양이 짧은 문명의 기간에도 불구하고 세계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과학기술, 사유재산, 법률제도 등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그러나 이런 부분에 있어 지금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결코 우위라고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그러나 서구가 지금 그대로 아시아에 추월을 허용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반면 중동을 비롯한 아시아권 강연자들은 서구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호소했다. 쿠웨이트의 나이프 알 무타는 “미국이나 유럽 출신의 슈퍼히어로 대신 지구를 지키는 99개국의 영웅을 만들었다.”면서 자신의 애니메이션 ‘더 99’를 공개했고, 인도의 래그하바는 흔들면 주인공 어린이의 국적과 배경이 바뀌는 아이패드용 동화책을 ‘올바른 동화책’이라고 소개했다.

●테드의 힘=전달하는 방식

테드 콘퍼런스를 지켜보면서 느낀 것은 결국 테드의 힘은 ‘전달하는 방식’에서 나온다는 것이었다. 테드가 과거 한국사회를 스쳐 갔던 수많은 유행이나 한국적 조류와 달리 진정한 소통의 매개체가 되기 위해서는 ‘잘 전달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그러나 한국에서 테드x 행사를 진행해 본 운영자들은 하나같이 “연단에 세울 사람이 마땅치 않다.”고 하소연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 사회적 책임이 있는 정치인이나 유명인들, 젊은 학자 및 운동가들이 전달하려는 노력을 더 기울이는 수밖에 없다.

테드 콘퍼런스를 현장에서 경험하면서 문제점이나 한계도 여러 군데서 발견할 수 있었다. ‘자유로운 의사소통’이라는 것이 결국 ‘테드 운영자들이 정한 자유’라는 점이나, 철저한 관리와 지나친 제약 등이 그것이다. 특히 한국에 테드 문화가 완전하게 녹아들기 어려운 문화적 차이도 있었다. 많은 한국인들이 처음 보는 사람에게 다가가 ‘너는 어디에서 왔니?’라고 스스럼없이 물어보는 방식에 거부감부터 느낄 것이다. 그럼에도 테드가 매력적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퍼뜨릴 만한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를 나누자’는 목적은 절대 잘못된 것일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에 이런 정신을 뿌리내릴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앞으로 나서주길 바란다. 한국의 ‘크리스 앤더슨’(테드의 아버지로 통하는 큐레이터) 아니, 그를 뛰어넘는 인물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에든버러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07-15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