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명문대 출신들 빈민가 학교서 근무

[월드이슈] 명문대 출신들 빈민가 학교서 근무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교사양성 프로그램 TFA

│워싱턴 김균미특파원│미국에서도 교사가 되려면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거나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교직을 제2의 직업으로 선택한 사람들을 훈련·양성하는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미국의 교사 양성, 훈련 프로그램 중에 특히 눈에 띄는 게 몇 개 있다. 20년째 활동 중인 ‘미국을 위한 교육(Teach for America)’이 대표적이다.

1990년 프린스턴대 4학년이었던 웬디 코프라는 학생이 대학논문에서 미 유수의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이 저소득 도심 학교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비영리단체를 제안한 것이 발단이 됐다. 교육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2년간 교사로 일하도록 하는 사회봉사의 성격이 다분하다. 교육계의 평화봉사단과 비슷하다.

●美대학생 제안에서 시작

TFA는 매년 지원자가 넘쳐나 경쟁률이 높다. 이른바 동부 명문대학인 아이비 대학 출신들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올해에도 4100명을 선발해 도심의 저소득 계층 자녀들이 다니는 학교들의 학생들에게 희망을 불어넣고 있다.

이들 중 2년의 의무근무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하는 비율은 8%에 불과하다고 한다. 61%가 계속 교직에 남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TFA 출신 1만 7000명 가운데 3분의2가 교직이나 교육관련 단체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워싱턴의 교육개혁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미셸 리 교육감도 이곳 출신이다.

●미셸 리 교육감도 이곳 출신

미셸 리 교육감은 공공정책 등을 전공했지만 이때의 경험을 계기로 교육 쪽으로 인생의 진로를 바꿨다. 1997년에는 교사들을 훈련, 우수 교사들을 필요로 하는 도심 학교들에게 지원해 주는 ‘새로운 교사 프로젝트(New Teacher Project)’를 설립해 교육감으로 오기 전까지 운영했다.

미국에서는 교직을 금융인이나 변호사처럼 전문직으로 대우받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다.

이에 걸맞은 대우도 해 줘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평가와 성과급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빌앤드멜린다게이츠재단에서는 효과적인 교수법을 연구, 지원하기 위해 2008년 3억 3500만달러라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진보센터에서도 교사들의 평가방법 등 교육개혁을 주요 프로젝트로 계속 연구 중이다.

kmkim@seoul.co.kr
2010-03-17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