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SSM 문제, 여야 합의 존중”

김종훈 “SSM 문제, 여야 합의 존중”

입력 2010-10-26 00:00
업데이트 2010-10-26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26일 국회에서 처리에 진통을 겪는 상생법(대.중소기업상생협력촉진법) 및 유통법(유통산업발전법)과 관련해 “여야 합의가 있는 만큼 합의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이날 서울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주한 유럽연합(EU) 상공회의소 주최 세미나의 오찬 연설 직후 기자들과 만나 기업형슈퍼마켓(SSM) 문제와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본부장은 이들 두 법안에 대해 “무역 분쟁의 소지가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분쟁의 소지가 없는 게 가장 좋지만 이미 그런 단계는 지나지 않았나..(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김 본부장이 상생법 등이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분쟁의 소지가 있다는 취지에서 상생법 처리에 반대했던 것보다 한 걸음 물러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민주당은 김 본부장의 상생법 처리 반대를 문제 삼아 SSM을 규제하는 유통법 처리를 유보하자는 입장인 반면,한나라당은 유통법을 계획대로 처리해야 한다고 맞서는 상태다.

 김 본부장은 “어제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를 만나 경쟁이 격화하면서 어려워진 중소 유통소매업자를 위한 여야의 합의 내용을 존중하되,분명히 거기에는 분쟁의 소지가 있다는 사실을 설명했다”며 “차후 분쟁이 제기되면 처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날 론 커크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한.미 통상장관회의를 열어 한.미 FTA를 논의하는데 대한 질문에는 “특별히 미리 준비된 의제는 없으며,모든 것이 논의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세미나 오찬 연설에서 김 본부장은 “한-EU FTA 비준과 관련해 EU측이 걱정스럽다”며 “FTA가 예정대로 내년 7월1일 발효하려면 의회 동의가 필수적인데 그 절차가 섬세하면서 복잡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또 “FTA가 최종 발효하려면 EU 각 회원국의 승인이 필요하다”며 EU 회원국 사이의 이해관계가 달라 FTA 공식 발효 일정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을 걱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