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에 매립된 고엽제 드럼통 500개”

“칠곡에 매립된 고엽제 드럼통 500개”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캠프 캐럴’ 작업 미국인 증언… 매립양 10만ℓ 넘을 듯

33년 전 경북 칠곡군 왜관읍 미군기지 ‘캠프 캐럴’ 주변에 고엽제로 쓰이는 독성 물질을 묻었다는 전직 주한 미군의 증언과 관련, 환경부는 현장 조사반을 꾸려 기지 주변에 대한 환경조사에 착수했다. 또 불법 매립된 고엽제의 양이 10만 리터를 넘는다는 당시 작업 당사자였던 한 미국인의 증언이 나오면서 당초 알려진 5만 리터의 2배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이미지 확대
환경부 현장 조사
환경부 현장 조사 20일 환경부 관계자들이 주한 미군의 고엽제 불법 매립 의혹이 불거진 경북 칠곡 캠프 캐럴 인근의 하천을 둘러보고 있다.
칠곡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환경부는 토양지하수과 직원 3명과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대구지방환경청 등 산하기관 직원, 환경 전문가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조사팀을 현장에 보냈다.

이들은 20일 칠곡군청에서 경북도, 칠곡군의 환경 관련 관계자와 대책회의를 가졌다. 회의에서는 캠프 캐럴에 대한 환경조사 일정과 향후 계획이 논의됐다. 이어 버스 편을 이용해 캠프 캐럴 주변을 한 바퀴 돌며 기지에서 외부로 나오는 실개천 3~4곳을 확인하고 주민 의견을 청취했다. 실개천이 대구나 부산 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고려해 고엽제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기로 했다.

주민 의견을 청취한 결과 헬기장 주변이 고엽제 매립지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헬기장과 가까운 지역에서 토양과 지하수를 채취하기로 했다. 지하수 검사 항목에는 독성 물질인 다이옥신이 포함되지 않아 정기검사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캠프 캐럴에서 40년 이상 근무한 한 군무원이 “1978년 고엽제 매립과 비슷한 시기에 다량의 페인트통을 묻었다.”고 밝혔다. 1966년 캠프 캐럴에 군무원으로 들어가 40년간 근무한 박모씨는 802공병대에서 1970년대 중후반 헬기장을 조성하면서 많은 수의 페인트통을 묻었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그는 미군이 매몰했다고 주장하는 55갤런짜리 드럼통이 아니라 이보다 훨씬 작은 5갤런 정도로 기억한다고 덧붙였다.

또 당시 작업 당사자였던 미국인 스티브 하우스는 “캠프 캐럴 헬기장 주변에 파묻은 200리터가 좀 넘는 고엽제 드럼통이 500개가 넘는다.”고 말해 매립된 고엽제 양이 10만 리터에 달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대구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사회단체는 이날 오전 캠프 캐럴 앞에서 항의 집회를 했다.

칠곡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5-2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