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준 “안철수, 쉽게 꺼지지 않을 것”

윤여준 “안철수, 쉽게 꺼지지 않을 것”

입력 2011-09-04 00:00
업데이트 2011-09-04 1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서울시장 보선 출마땐 승산” “한국 정치 바꾸려고 운동””기존 정당에 들어갈 바에야 고생을 왜 하겠는가”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가 점쳐지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전략기획 브레인’으로 꼽히는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은 4일 “과거 정치인 중 단기간에 치솟고 꺼지는 경우가 있지만 안철수 원장은 다르다”고 말했다.

안 원장이 출연하는 ‘희망공감 청춘콘서트’ 기획에 참여해온 윤 전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안철수 개인에 대한 신뢰와 감동이 뿌리이므로 쉽게 꺼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안 원장의 서울시장 보선 출마 여부에 대해 “이제는 본인이 하느냐 안하느냐 결심만 남았다”고 말한 데 이어 “(출마할 경우) 승산은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윤 전 장관과의 일문일답.

--안 원장의 입장은.

▲이제는 본인이 하느냐 안하느냐 결심만 남았다.

--안 원장의 파괴력이 커보이지만, ‘거품’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과거 정치인 중 단기간에 치솟고 꺼지는 경우가 있지만, 안 원장은 다르다. 안철수 개인에 대한 신뢰와 감동이 있다. 그게 뿌리이므로 쉽게 꺼지지 않는다.

--안 원장이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기존 정당이 국민의 신뢰를 잃었지만 뿌리가 있는 조직이므로 쉽게 보지 않는다. 이긴다는 표현보다 승산은 있다.

--앞으로 활동 방향은.

▲누구도 알 수 없다. 청춘콘서트는 단순하게 시작됐는데, 워낙 열광하니까 모른 척할 수 없는 상황이다. 원래 청춘콘서트가 9일 끝나면 추석까지 쉬고 다음 단계에 뭐할지 생각해보자고 했었다.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결정된 이후에도 내부적으로 서울시장 보선은 관심사가 아니었고, 하고자 하는 게 따로 있었다.

--옆에서 어떤 방향으로 조언하는가.

▲판이 커졌다. 나는 한국 정치를 바꾸려고 운동하는 사람이다. 이번의 생산적인 에너지를 한국정치를 바꾸는데 활용해야 한다. 다만 서울시장 보선은 계획한 것도, 예상한 것도 아니다. 다만 안 원장이 과거에 서울시 시스템 문제를 지적한 적은 있었다. 겉치레, 전시성이 돼선 안 되며 서울시 행정에 근본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가벼운 얘기를 한 바 있다.

--안 원장을 대권 후보로 염두에 두고 있나.

▲안 원장 본인의 정치적 성향이 있는지 없는지를 봐왔을 뿐이다.

--서울시장 보선에 나서면 선거운동은 어떻게 하나.

▲안 원장과 박경철 원장 모두 선거 경험이 없다. 주변에서 조금이라도 구경한 것은 나밖에 없다.

--제3정당 창당 얘기도 나온다.

▲서울시장 선거 과정에서 정당을 만드는 것은 시간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조직을 꾸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거대한 공룡 조직을 만들 필요는 없다. 조직을 한다면 ‘21세기형 조직’이 필요하다.

--이번 선거에서 성공하면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것인가.

▲만약 출마 결심을 굳히고 당선된다면 시장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본인 성격도 그렇다. 다만 기존의 1당, 2당이 국민적 신뢰를 잃어 제3세력 얘기가 나온다고 본다. 새 인물에 대한 갈망이 심하다 보니 안 원장에 대한 열망이 있는 것이다. 다만 제3세력은 국민이 지지해줘야 한다.

--국민 지지가 있다면 창당이 가능하다는 말로 들린다.

▲만든다, 안 만든다 정해진 게 없다. 국민이 폭넓은 지지를 해준다는 보장이 있는가. 폭넓은 지지가 있다면 그때 가서 선택의 여지가 많다.

--여야 모두 안 원장에 대한 미련이 많아 보인다.

▲욕심이 안나겠는가. 하지만 기존 정당에 들어갈 바에야 (한국정치를 바꾸려는) 고생을 왜 하겠는가.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