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 사망에 놀란 北 체제동요 차단 잰걸음

카다피 사망에 놀란 北 체제동요 차단 잰걸음

입력 2011-10-31 00:00
업데이트 2011-10-31 05: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청년층에 “우리식 생활양식 우월” 사상무장 역설해외근로자·주재원 귀국금지령…출국도 막아

북한이 ‘카다피 사망’ 이후 해외 주재원 및 교민에 대한 귀국금지 조치를 한층 강화하고 청년들에게 사상무장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부 정보의 유입을 전면 차단하는 한편 체제 우월성에 대한 선전·선동을 강화해 카다피 사망이 주민에게 끼칠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북한당국의 의도가 엿보인다.

31일 연합뉴스가 조선중앙통신,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들의 카다피 사망 이후 보도내용을 분석한 결과, 북한은 카다피 사망이 공식 확인된 지난 20일 이후 이와 관련해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은 채 침묵을 지키고 있다.

이런 침묵은 카다피와 오랜 인연을 맺어온 북한 수뇌부의 충격이 그만큼 컸고, 카다피 사망 소식이 북한 내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수뇌부의 우려가 동시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카다피 사망에는 무반응으로 일관하는 북한이지만 최근 청년층을 상대로 사상무장을 부쩍 강조하는 것이 눈에 띈다.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지난 27일 ‘우리식의 우월한 생활양식을 더욱 빛내여나가자’라는 장문의 사설에서 청년학생들의 사상적 동요를 경계하며 사상 무장을 역설했다.

노동신문은 “지금 우리식 생활양식 확립 사업이 새로운 높은 단계에서 전면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우리식 생활양식은 가장 우월한 생활양식”이라며 “제국주의자들은 반동적 사상문화·퇴폐적 생활양식 유포에 발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새 세대 청년들은 우리식 생활양식의 우월성을 신념으로 체득하고 언제나 김일성 민족의 후손이라는 자각과 사명감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제국주의 사상문화 침투책동은 사소한 틈이라도 보이면 퇴폐적 사상·이색적 생활풍토를 들이밀므로 사상교양사업을 끈기있게 벌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북 소식통은 이에 대해 “북한이 현 시점에서 ‘이색 사상문화 차단’을 강조한 것은 카다피 사망에 대한 간접적인 반응”이라며 “외부사조에 민감한 청년학생들의 사상이완을 경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북한은 중동에서 민주화 시위가 불거진 직후인 지난 2월에도 ‘선군청년 총동원 대회, 10만 청년학생 결의대행진’ 등을 통해 청년들의 사상통제를 강화하려는 시도를 했는데 그때와 유사한 의도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북한 당국은 또 카다피 사후 외부 정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물밑에서 적극적인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 대북소식통들의 전언이다.

우선 북한당국은 최근 리비아에 체류 중인 북한교민들에게 귀국금지령을 내린 데 이어 중국 등 해외에서 장기간 생활해온 주재원과 가족에게도 귀국금지 조치를 한층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소식통은 “해외에 3∼5년 장기근무했던 주재원들이 가족과 함께 귀국하는 것을 북한당국이 막고있다고 들었다”며 “그중에는 실세로 꼽혀온 고위공무원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해외 주재원에 대한 북한 당국의 귀국금지령은 올해 초 중동 등지에서 ‘재스민 혁명’이 확산되자 외부정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제한적으로 취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국내 출장 자제나 귀국 자제 등 권고·권유 수준이었지만 카다피 사망을 전후해서는 점차 강제성을 띤 조치로 강화되는 분위기라고 대북소식통들은 전한다.

리비아나 이집트 등 ‘재스민 혁명’이 일어난 중동 지역에는 최근 근로자 파견도 중단했다고 외신이 최근 전한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