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미FTA 후 ‘정치쇄신’ 주도하나

박근혜, 한미FTA 후 ‘정치쇄신’ 주도하나

입력 2011-11-22 00:00
업데이트 2011-11-22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권의 쇄신 논의가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정치쇄신’을 언급해 의중이 주목을 받고 있다.

박 전 대표는 21일 서울 인덕대학을 방문했을 때 기자들로부터 당 쇄신에 대한 질문을 받고 “지금은 정책쇄신에 집중하고 그 다음에 정치쇄신도 해야 한다. 나중에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 ‘고통경감’을 위한 정책쇄신이 현안이지만 다음 장(章)에서는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이반된 민심을 달래기 위해 여권에 총체적 쇄신의 메스를 들이대겠다는 것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친박(친박근혜) 진영의 한 의원은 “결국 관심은 총선에서 내세울 정책과 인물 아니겠는가”라며 “원론적 발언이긴 하지만 박 전 대표도 여러가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FTA 비준과 내년도 예산안 처리후 지도부 개편론, 당명 개정, ‘물갈이 공천’을 포함한 공천의 원칙과 폭, 새인물 영입 문제 등이 일제히 도마 위에 오를 것인만큼 박 전 대표도 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면서 나름의 쇄신 방향을 잡아가고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박 전 대표가 이를 통해 내년초 19대 총선정국을 진두지휘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여권의 유력한 대선주자로서 정치 쇄신을 전면화해 위기에 빠진 당을 구하고 ‘안철수 폭풍’에 영향을 받은 본인의 대권 이미지도 업그레이드 시키겠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

다만 친박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박 전 대표의 ‘정치 쇄신’ 언급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꺼리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특히 박 전 대표가 전면에서 총선을 이끌 것이라는 전망에는 부정적인 기류도 있다.

한 친박 의원은 “현재의 위기상황에서는 박 전 대표가 깃발을 잡고 지난 2004년처럼 분명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당을 구하는 형태로 가는게 맞다고 본다. 그러나 박 전 대표가 그럴 생각이 크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박 전 대표가 정치쇄신을 위한 ‘패키지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도 있겠지만 홍준표 대표의 체제에서 실행된다면 박 전 대표가 직접 나서서 하는 것보다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은 아직 정치쇄신을 본격적으로 거론할 단계가 아니라고 경계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정치쇄신으로 넘어가면 블랙홀이 되어서 정책쇄신이 흐지부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은 그 순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