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탈북자 합신센터서 자살…”위장탈북 들통”

30대 탈북자 합신센터서 자살…”위장탈북 들통”

입력 2011-12-28 00:00
업데이트 2011-1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원 “北 공작조로부터 선교단체 동향파악 지령받아”

합동신문과정에서 위장 탈북 사실이 드러난 30대 남성 탈북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국가정보원이 27일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30대 탈북자 1명이 지난 13일 경기도 시흥의 중앙합동신문센터내 숙소 샤워실에서 운동복 끈으로 목을 맨 채로 발견돼 병원으로 후송했으나 숨졌다”고 공개했다.

국정원은 이 탈북자는 신원과 탈북 경위 등에 대한 조사를 받던 중 12일 북한 공작조로부터 탈북자 지원 국내 모 선교단체의 위치와 선교사 신원을 파악하고 보고후 잠복하라는 지령을 받고 탈북자 신분으로 위장해 국내로 침투한 사실을 자백했다고 설명했다.

정보 소식통은 “이 탈북자는 북한 공작조로부터 북한에 있는 가족을 볼모로 협박을 받았으며, 붙잡히면 ‘장렬히 자폭하라’는 지령을 받아 위장 탈북 자백 후 심적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사건 발생 직후 현장에서 응급조치를 한 후 인근 병원으로 긴급히 후송해 응급실에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으나 끝내 사망했다고 전했다. 또 사건 당일 관할 검찰과 경찰에 즉시 신고했으며, 경찰이 검찰의 지휘 아래 현장검증을 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와 함께 14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부검을 의뢰, “외력에 의한 손상은 전혀 없고 목 부위 상흔 등으로 보아 자살했다”는 결과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이 탈북자가 언제 어디를 통해서 입국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언론에서는 국정원이 국과수 부검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을 했고, 사망 후 며칠이 지나 시신을 경찰에 넘겼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북측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위장 탈북했다고 자백한 탈북자의 신병 관리를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정원 측은 “현재 시신은 보존하고 있으며, 국과수 부검은 14일 의뢰해 당일 나왔다. 사망 당일인 13일 검ㆍ경에 신고하는 한편, 현장검증까지 거쳤다”고 해명했다.

국정원은 관리 소홀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도 “계속 지켜봤는데 새벽 시간대 1~2분 정도를 놓친 것 같다”면서 “목을 맨 것을 곧바로 발견해 응급조치를 취했으며, 발견 당시 숨은 붙어 있었다”고 덧붙였다.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탈북자는 경기도 시흥의 중앙합동신문센터에서 국정원과 경찰, 군 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합동신문팀으로부터 최장 6개월간 탈북 경위 등에 대한 조사를 받는다. 합동신문을 받던 탈북자가 자살한 사실이 알려진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