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위ㆍ청년위 위원 절반 규모로 ‘슬림화’

대통합위ㆍ청년위 위원 절반 규모로 ‘슬림화’

입력 2013-05-26 00:00
업데이트 2013-05-26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위원회별 위원 20명 목표로 인선작업” 검증 강화로 인선작업 늦어져 내달 출범할 듯

새 정부에서 신설된 대통령 직속 국정과제위원회인 국민대통합위와 청년위가 위원 수를 애초 계획보다 절반으로 줄여 출범한다.

지난 6일 국무회의를 거쳐 공포ㆍ시행된 두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대통령령)’에 따르면 대통합위와 청년위의 위원 수는 각각 60명 이내와 40명 이내로 명시돼 있다.

대통합위의 경우 17개 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정무수석까지 20명이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두 위원회 모두 최대 40명까지 민간 위원을 위촉할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위원회별 위원 수를 20명 정도로 축소해 위원회를 출범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핵심 관계자는 2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규정에는 만약에 대비해 위원 규모를 크게 잡아놓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작게 만드는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 직속 모든 위원회는 위원의 수를 20명으로 정하고 출범시키려 하고 있으며, 일단 출범시킨 뒤에는 특별한 이유없이 인원을 늘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규정안의 계획보다 규모를 축소하는 것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정부 조직 개편작업을 하면서 지난 정권에 비해 청와대 조직을 ‘슬림화’한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규모가 크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원만으로 위원회를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과거 국가브랜드위원회처럼 위원이 50∼60명 규모인 ‘메가 위원회’로 구상할 수도 있었겠지만 새 정부에서는 그런 위원회를 만드려 한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두 위원회의 구성 작업은 이번 달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청와대 인사검증이 강화되면서 출범 시기는 다음 달로 늦춰질 전망이다.

한 관계자는 “위원 후보들을 개별 접촉한 뒤 승낙을 받아 검증을 하고 있는데 일부가 고사하는 바람에 새로운 후보를 물색하는 등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6월에야 출범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