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돕는 사람 누군가…‘외교관’과 ‘범여권’ 양대축

반기문 돕는 사람 누군가…‘외교관’과 ‘범여권’ 양대축

입력 2017-01-11 13:33
업데이트 2017-01-11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B정부 출신인사 상당수 포진…‘마포 상근멤버 11인’ 주목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의 귀국이 11일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반 전 총장을 도와 대선에서 뛸 조력자들의 면면이 관심이다.

반 전 총장은 불과 열흘 전인 작년 말까지 총장직을 수행했고 국내에 특별한 정치적 조직기반이 없었기 때문에 그를 돕는 인물들의 존재 자체가 베일에 가려져있었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의 귀국이 임박하면서 ‘숨겨졌던 캠프’가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크게 볼 때 반 총장과 업무적으로 인연을 맺었던 외교관 출신그룹, 그리고 이명박(MB) 정부 인사들과 충청권 의원들을 아우르는 범여권 정치인 그룹으로 구분된다.

외교관 출신그룹에서 가장 핵심적인 조력자로 꼽히는 인물은 김숙 전 주(駐) 유엔 대사다.

반 전 총장의 귀국 후 일정부터 대국민 메시지까지 전반적인 업무를 총괄하면서 사실상 반 전 총장의 대선캠페인을 이끌어가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김 전 대사와 함께 ‘외무고시 12회 3인방’으로 꼽히는 김원수 전 유엔 사무차장과 오준 전 주 유엔 대사, 김봉현 전 호주대사가 외교관 출신 조력자들로 꼽힌다.

외교관 후배이면서 새누리당 의원을 지낸 심윤조 전 오스트리아 대사, 반 전 총장과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동문인 박진 전 의원도 지원그룹에 속해있다.

일선에 나서지 않으면서 반 전 총장에게 정치적 조언을 하는 ‘원로 멘토그룹’이 있다. 노신영 전 총리와 한승수 전 총리, 신경식 헌정회장이 대표적이다.

반기문 조력자의 또 다른 축은 여의도 정가에 있는 범여권 인사들이다. 특히 이명박 정부 출신 인사들이 상당수여서 눈길을 끈다.

먼저 곽승준 고려대학교 교수는 반 전 총장의 경제팀을 이끌고 있다. 곽 교수는 이명박 정부 때인 2008년 대통령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을 지냈다. 곽 교수는 현재 ‘따뜻한 시장경제’와 ‘진화된 자본주의’, ‘글로벌 스탠다드(국제기준)에 맞는 제도’ 등을 삼각축으로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또 이명박 정부에서 활약했던 언론인 출신의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과 김두우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가세하고 있다.

역시 언론인 출신인 이상일 전 새누리당 의원은 홍보와 관련한 기획업무를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의원의 경우 주로 충청권을 중심으로 반 전 총장의 지원세력이 형성됐다.

김종필 전 총리와 가까우면서 이명박 정부 때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을 지낸 바 있는 정진석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경대수·박덕흠·이종배 등 충북지역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뛰고 있다. 이들 의원은 미국으로 찾아가 반 전 총장을 직접 만나 ‘뉴욕파’로도 분류된다. 충남지역의 성일종 의원도 물밑 지원을 하고 있다.

충청권은 아니지만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도 반 전 총장이 “굉장히 중요한 대선후보 중 한 명”이라며 지원을 공개적으로 표한 바 있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캠프의 모태가 될 마포 사무실의 ‘상근멤버’들이다.

이도운 전 서울신문 부국장은 반 전 총장의 귀국 전날인 이날 기자간담회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대변인 활동에 돌입한 상황이다. 언론인 출신 중에는 손지애 전 아리랑 TV 대표가 다음 달 초부터 부대변인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김숙 전 대사를 중심으로 곽승준 교수, 이상일 전 의원, 김봉현 전 대사, 이도운 대변인 등 11명이 마포로 매일 출근해 매일 회의를 하고 실무 준비에 한창이다.

이 대변인은 “해당 실무지원팀이 지난 연말 김 전 대사를 중심으로 구성돼 본격적으로 일하기 시작했다”며 “자발적으로 여러 지원 활동이 있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보좌 조직은 여기”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외곽에서 도와주는 분들이 정말 많은데 그것을 묶어 조직으로 만드는 걸 국민이 원하겠느냐”면서, 지금으로서는 현재 흩어져 있는 지원조직들을 합칠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