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엔 지지율 13% ‘안풍’… 지금은 2% ‘미풍’

4년 전엔 지지율 13% ‘안풍’… 지금은 2% ‘미풍’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0-02-24 01:02
업데이트 2020-02-24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安 주도 ‘국민의당’ 창당과정 비교

2016년엔 총선 넉달 전 독자노선 ‘돌풍’
이번엔 참여인사 적어 관심도 못 끌어
이미지 확대
안철수(얼굴) 전 의원의 국민의당이 23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총선 레이스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당 이름은 4년 전과 똑같지만 한 박자 느린 창당 스케줄, 한층 얇아진 참여 인사 풀, 좀처럼 달아오르지 않는 관심도 등은 차이가 크다.

국민의당은 4·15 총선을 52일 앞둔 이날 서울 강남구 SAC아트홀에서 ‘e-창당대회’라는 이름으로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안 전 의원을 대표로 추대했다. 2016년 4·13 총선을 71일 앞두고 대전에서 열었던 4년 전 창당대회와 비교하면 20일 가까이 늦었다. 안 대표가 정치 복귀를 결심하기까지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안 대표는 지난 총선 전에는 새정치민주연합에 적을 두고 있다가 선거일 네 달 전쯤 탈당하면서 본격적인 독자 노선을 걸었다. 반면 이번에는 지난달 2일에서야 페이스북을 통해 복귀를 알렸고 같은 달 19일 귀국한 뒤에야 정치 행보를 시작했다.

4년 전엔 제1야당이던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일부 유력 인사와 세력을 포섭했지만 이번엔 자신이 창당한 바른미래당에서도 주인 행세를 하지 못했다. 2016년 창당대회는 천정배 의원이 준비하던 국민회의와의 합당을 겸한 행사였다. 통합신당을 준비하던 박주선 의원,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김한길·주승용 의원 등이 국민의당으로 모였고 권노갑·정대철 전 의원 등 굵직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반면 지금 국민의당의 중추는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처음 국회에 진출한 김삼화·김수민·신용현·이태규 의원 등이다. 현역 지역구 의원은 역시 초선인 권은희 의원이 유일하다. 안철수계로 분류되던 김중로·이동섭 의원은 미래통합당행을 결정했다.

호남을 기반으로 ‘안풍’을 일으킨 4년 전과 달리 지금은 지역 기반도 전무하다. 지지율도 전과 같지 않다. 중앙당 창당 시점 기준으로 보면 2016년 2월 1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국민의당은 지지율 13.1%를 기록했지만, 지난 21일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 ±3.1%포인트)에서는 지지율 2%에 그쳤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20-02-24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