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 제2교섭단체 카드 만지작…위성정당 꼼수 2라운드

민주·통합, 제2교섭단체 카드 만지작…위성정당 꼼수 2라운드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0-04-17 16:05
업데이트 2020-04-17 16: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與, 시민당 존치 검토
한국 “합당 서두르지 않아”
공수처장 국회 추천 몫 신경전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 이종걸(오른쪽)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5일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종합상황판에 당선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 이종걸(오른쪽)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15일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1대 총선 개표상황실에서 종합상황판에 당선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4·15 총선에서 비례위성정당을 만들어 비례대표 의석을 싹쓸이로 챙겨간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17일 ‘1정당 2교섭단체’ 본심을 드러냈다. 민주당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구성에 필요한 야당 몫을 챙기고자, 의석이 쪼그라든 통합당은 교섭단체 2개로 원내협상력을 끌어올린다는 꼼수다.

민주당은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이 확보한 17석에 현역의원 3명을 더 이적해 교섭단체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애초 민주당이 만든 더불어시민당은 ‘연합정당’ 성격으로 총선 후 해산해 각자의 당으로 돌아간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민주당 윤호중 사무총장은 이날 “통합당이 미래한국당과 어떤 방식으로 운영해나갈지를 보면서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비례대표 의석 19석을 얻을 미래한국당이 통합당에서 의원을 빌려오거나 무소속 의원과 연합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전망에 윤 사무총장은 “민의를 거스르는 움직임이 있다면 방치할 수 없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했다.

윤 사무총장은 또 “(미래한국당이) 제3교섭단체로 분신술을 친다면 상식을 벗어난 일”이라며 “여러 고민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날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 제2교섭단체 구성 방안을 논의한다.
미래한국당 “국민에게 희망을”
미래한국당 “국민에게 희망을” 미래한국당 원유철 총괄선거대책위원장과 지도부가 8일 국회 본관 앞에서 국민에게 희망을 전달하기 위한 ‘핑크 챌린지’ 홍보 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배규환 공천관리위원장, 염동열 사무총장, 원 위원장, 정운천 비례대표 후보, 김기선 수석 공동선대위원장, 김종석 의원.
연합뉴스
통합당의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도 합당을 서두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애초 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총선 후 원내 1당이 되도록 즉시 합당하겠다는 결의문을 작성했지만, 총선 참패로 합당해도 1당이 되지 못한다. 통합당 지역구 의석 84석,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의석 19석을 합쳐도 민주당이 독자적으로 지역구에서 얻은 163석을 넘지 못한다.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는 이날 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 후 “(합당 시기를) 지금 당장 결정하고 그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 대표는 “당을 합하는 시기는 정무적으로 판단한다고 이미 말씀드린 바 있다”며 “21대 국회의 정치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했다.

21대 국회 개원까지 당을 유지하느냐는 질문에는 “당연하다. 저희가 많이 부족하고, 반성해야겠지만 국민이 많은 지지를 저희에게 보내주셨다”며 “그 지지와 성원에 어떻게 보답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질 것이다. 그전에 조급하게 결정하고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 대표는 또 “교섭단체 구성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야당이 참패해 송구스러운 상황이지만 그렇다고 해도 야당 역할을 포기할 수는 없다. 정부 여당을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제1야당의 형제정당으로서 같이 역할을 고민하고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과 통합당 모두 제2교섭단체를 구성하면 21대 국회는 여당인 민주당과 야당이지만 여당 역할을 하는 시민당, 제1야당인 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의 4개 교섭단체가 존재하는 기형적 형태로 운영된다. 사실상 한몸인데 원내 협상에서 2표를 행사하는 셈이다. 특히 21대 국회 원(院)구성 협상, 7월 출범 예정인 공수처장의 국회 추천 과정에서 꼼수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인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