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직행 대신 ‘마지막 반전’ 택한 안철수…서울시장 삼수 성공할까

대권 직행 대신 ‘마지막 반전’ 택한 안철수…서울시장 삼수 성공할까

이근홍 기자
입력 2020-12-20 17:15
업데이트 2020-12-20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존재감 희미해진 상황서 서울시장 재도전 요구 빗발
또 지면 사실상 재기 불능, 승리시 유력 대권주자로 급부상
야권 단일화 방식 관건, 국민의힘 “소아 버리고 대의 좇아야”
오세훈·나경원 등 유력주자도 들썩…유승민은 대권 고수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연합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연합
야권 대권 주자 중 하나인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로 입장을 급선회한 건 연이은 선거 패배로 존재감이 희미해진 상황에서 마지막 반전을 위한 ‘현실적 선택지’를 고른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보궐선거를 승리로 이끌 경우 야권 내 위상이 높아져 이를 발판 삼아 차기 대선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 재기 불능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안 대표가 제시한 ‘야권 단일화’가 최대 변수다.

안 대표는 최근 ‘야권 혁신플랫폼’을 띄우며 대권 도전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왔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이를 철저히 외면하는 등 성과가 나지 않자 당내에서도 당장 서울시장부터 다시 도전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쳤다. 안 대표는 20일 기자회견에서 “지금의 암울한 현실을 바꾸려면 정권교체 외엔 어떤 답도 없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승리가 그 교두보라는 많은 분들의 의견을 부인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대권에서 서울시장으로 ‘일보 후퇴’했지만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축된 안 대표의 현실을 고려하면 명분과 실리를 챙긴 최선의 결정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야권 관계자는 “여당에 서울시장 자리를 넘겨준 안 대표가 이번에 야권 후보로 출마하면 결자해지라는 명분을 내세울 수 있다”며 “만약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유력 대권주자로 급부상하는 실리까지 챙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안 대표가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은 ‘야권 단일화’다. 야권은 안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지만 야권 빅텐트의 주도권을 누가 쥘 것이냐를 두고는 안 대표와 국민의힘 간에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선언했다.기자회견후 소통관을 나오면서 한 지지자의 꽃다발을 받고 환하게 웃는 안대표. 2020. 12. 20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선언했다.기자회견후 소통관을 나오면서 한 지지자의 꽃다발을 받고 환하게 웃는 안대표. 2020. 12. 20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이날 안 대표는 ‘공정 경쟁’을 전제로 한 연대를 강조했지만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야권연대를 하더라도 국민의힘 간판 아래 내부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103석국민의힘이 3석 국민의당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하는 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날 보궐선거 공천관리위원장으로 임명된 5선 정진석 의원은 페이스북에 “안 대표의 세번째 서울시장 출마 선언이 문재인 정권의 폭정을 종식시키겠다는 진심에서 우러나온 것이라 믿는다”며 “그렇다면 안 대표 또한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의(大義)만을 좇아야 한다. 이기적인 자기중심적 사고를 과감히 버리고 야권통합의 밀알이 되겠다는 겸허한 자세와 희생정신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안 대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금태섭 전 의원 등이 국민의힘 후보와 함께 범야권 ‘원샷 경선’을 치르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안 대표의 출사표에 선거판도 들썩이고 있다. ‘서울시장 차출론’의 주인공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페이스북에 환영의 뜻을 밝히며 “저도 필요한 어떤 역할이라도 하겠다”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그러면서도 “국민의힘을 중심으로 보궐선거와 대선 승리로 가는 야권대통합의 큰 밑그림이 마련될 것”이라고 안 대표를 견제했다. 나경원 전 의원은 방송 인터뷰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상황을 더 지켜보자”고 말을 아꼈다. 유승민 전 의원은 대권 도전 의지를 재확인했다. 유 전 의원 측 관계자는 “기존에 밝혔던 입장과 달라진 바 없다”고 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