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 능력 배양 등 교육 기능 강화
‘역량강화’ 이름 바꿔 최고위서 의결
“시험, 국민주권주의와 배치” 반발도
국민의힘 이준석(가운데) 대표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김기현 원내대표, 오른쪽은 김재원 최고위원. 국민의힘 회의실 배경에는 충전 중인 배터리 그림과 함께 ‘로딩 중’이라는 글자가 적혔다. 더 많은 당외 대권주자들을 합류시켜서 배터리를 완전 충전해 대선을 치르겠다는 뜻을 담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직후보자 역량강화 TF’ 출범을 의결했다. 이 대표는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교육 기능과 향후 평가 기능까지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명칭 변경이 조금 있었다”면서 “자격시험이 처음에 언급된 것도 출마하시는 분들의 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자는 데 의도가 있고 교육 프로그램을 잘 제공하겠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에 그 부분까지 언급하자는 취지에서 역량강화 TF로 이름이 정해졌다”고 설명했다.
TF 위원장은 3선 김상훈 의원이 맡았으며, 송석준·유경준 의원 및 원외 당직자들이 TF에 참여한다. 커리큘럼 개발과 평가체계 구축에는 민간 전문가들도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당대회 당시 이 대표는 “공직자가 되려면 그에 걸맞은 최소한의 업무능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내년 지방선거 공천을 겨냥한 공직후보자 자격시험을 공약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과도한 능력주의라는 비판이 일었고 당내에서도 김재원 최고위원이 “시험은 국민주권주의 대원칙과 맞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등 반발이 일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이날 “이견이 있어도 그 부분은 ‘역량강화’ 안에 포함됐다. 조정이 됐다”고 설명했다. 또 “교육 기능에 방점을 찍겠다고 몇 번 말씀드렸기 때문에 대다수 인사들은 통과할 시험”이라고 덧붙였다.
2021-07-2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