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억짜리 세 발 중 한 발 명중 실패…美에 함대공 ‘SM2’ 하자 보상 요구

18억짜리 세 발 중 한 발 명중 실패…美에 함대공 ‘SM2’ 하자 보상 요구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1-19 02:37
수정 2023-01-19 07: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미일 대잠전 훈련 참가한 전력들이 30일 동해 공해상에서 기동훈련을 하고 있다. 2022.9.30 해군 제공
한미일 대잠전 훈련 참가한 전력들이 30일 동해 공해상에서 기동훈련을 하고 있다. 2022.9.30 해군 제공
우리 군이 운용하는 함대공미사일 SM2가 시험발사 세 발 가운데 한 발꼴로 표적을 맞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지난달 미국을 방문해 보상(하자 구상)을 포함한 후속 조치를 요구했다.

18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우리 군은 2004년부터 2022년까지 19년 동안 SM2를 36차례 발사했다. 이 가운데 25발은 명중했지만 11발은 요격에 실패했다. 요격 실패 가운데 6발은 유도탄 결함이 원인이었다. 미 군수업체 레이시언이 제작한 SM2는 함정에 탑재해 적 항공기나 미사일을 요격하는 함대공미사일이며, 사거리는 약 150㎞다. 한 발당 가격은 약 18억원이다.

특히 지난해 7월 하와이 인근에서 열린 환태평양훈련(림팩)에서 해군 구축함 세종대왕함(7600t급)이 발사한 SM2는 표적에 명중한 반면 문무대왕함(4400t급)이 발사한 SM2는 탐지·추적·발사 절차가 정상 진행된 뒤 표적을 향해 비행하다가 공중에서 폭발했다. 현재 해군은 유도탄 결함, 운용자 미숙 등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미 공동 조사를 벌이고 있다. 분석 결과는 올해 상반기에 나올 예정이다.

방사청은 지난달 4~11일 미국을 방문해 해군 측에 재발 방지 대책과 SM2 생산 현장에 우리 측이 참관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레이시언을 상대로는 품질·공정 관리 강화 등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방사청과 해군은 보상 방안을 포함해 SM2 품질 향상 방안을 미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3-01-1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