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공사관서 北인권 간담회
“‘北인권 심각한 문제’ 김여사 언급에 질 바이든도 공감”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62757_O2.jpg)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62757.jpg)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
웜비어는 북한에 구금됐다 2017년 혼수상태로 석방된 직후 결국 사망한 미국인 청년이다.
김 여사는 윤 대통령 국빈 방미 사흘째인 이날 오후 별도 일정으로 ‘북한 인권 간담회’에 참석했다고 대통령실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김 여사는 한국 정부의 지난 3월 ‘북한 인권보고서’ 첫 공개발간 소식을 소개하며 “북한 주민들이 조금이라도 더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북한의 인권 실상을 목격한 뒤 탈북한 참석자들의 사연, 웜비어 어머니의 탈북민 장학생 지원, 북한 인권 단체 활동 현황 등을 들은 뒤 “국제사회 전체가 연대해 북한 주민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알리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사연을 듣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62758_O2.jpg)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사연을 듣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4/27/SSC_20230427162758.jpg)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에 억류됐다 혼수상태로 풀려난 오토 웜비어 씨의 모친을 만나 사연을 듣고 있다. 2023.4.27 연합뉴스
김 여사는 조 바이든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이날 간담회에 앞서 만난 내용도 언급했다.
김 여사가 대화 도중 “북한의 인권 문제는 한미 양국이 관심을 가져야 할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하자 바이든 여사도 이에 공감했다고 한다.
김 여사는 이를 전하며 “한국 정부의 북한 인권 문제 해결 의지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다. 여러분들도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