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실 명당 잡아라”… 조망권·이동권 좋은 6~8층 로열층

“의원실 명당 잡아라”… 조망권·이동권 좋은 6~8층 로열층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5-14 17:54
업데이트 2020-05-15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각 당 원내행정실이 배정… 다선 우선

큰 정치인 나온 7층 선호… 선점 경쟁도
615·518호 상징성… 前대통령 방 인기
이미지 확대
의원회관 북쪽으로는 기자실이 있는 소통관, 국회 본관이 보인다. 건물만 보이는 삭막한 풍경이어서 선호도가 낮다.
의원회관 북쪽으로는 기자실이 있는 소통관, 국회 본관이 보인다. 건물만 보이는 삭막한 풍경이어서 선호도가 낮다.
21대 국회 개원이 다가오면서 ‘명당’을 선점하려는 경쟁이 뜨겁다.

10층짜리 건물인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전통적으로 잔디밭과 분수대가 내려다보이면서도 이동이 편한 6~8층이 로열층으로 꼽힌다. 20대 국회에선 더불어민주당 박병석·김진표·추미애 의원, 미래통합당 김무성·정병국·주호영 의원, 무소속 서청원 의원 등 중진들의 몫이었다. 이 중 여의도를 떠나는 의원들이 나오면서 ‘공실’을 차지하기 위한 물밑 경쟁이 뜨거운 것으로 알려졌다.

의원실은 국회사무처가 할당한 방을 각 당 원내행정실이 받아 배정한다. 국회는 15일까지 배정을 완료할 예정이다. 우선 재선 이상 중 이사를 원하지 않는 의원들의 의견을 듣는다. 옮기고 싶은 의원 중에서는 다선 의견부터 듣는다. 원내행정실이 공인중개사 역할을 하는 셈이다.

배산임수를 따져 좋은 기운을 받고자 하는 ‘풍수지리파’부터 샛강이 훤히 보이는 서편을 선호하는 ‘조망권파’까지 희망사항은 제각각이다. 특히 큰 정치인이 나는 곳으로 유명한 7층이 인기다. 20대 국회에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718호를 썼다. 21대 국회에서는 이낙연 전 총리가 746호를 쓸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의원회관 서향은 샛강을 마주해 풍경이 가장 좋다. 좋은 풍경을 원하는 ‘조망권파’ 의원들에게 인기가 높다.
의원회관 서향은 샛강을 마주해 풍경이 가장 좋다. 좋은 풍경을 원하는 ‘조망권파’ 의원들에게 인기가 높다.
이미지 확대
의원회관 안쪽을 바라보는 의원실은 건물 내부를 마주해 어둡다. 선호도가 가장 낮은 복도 쪽 의원실이다.
의원회관 안쪽을 바라보는 의원실은 건물 내부를 마주해 어둡다. 선호도가 가장 낮은 복도 쪽 의원실이다.
상징성 때문에 인기 있는 방도 있다. 6·15 남북공동선언을 상징하는 곳으로 민생당 박지원 의원이 사용한 615호는 남북문제에 관심이 많은 의원이 탐내고 있다. 광주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518호도 인기다. 호남 출신 민주당 의원이 희망했지만 현재 사용 중인 무소속 이용호 의원은 계속 이 방을 쓸 생각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썼던 325호를 쓰는 민주당 권칠승 의원은 사수 의지가 강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썼던 638호는 통합당 김승희 의원이 방을 빼면 민주당 당선자들의 쟁탈전이 예상된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썼던 312호는 민주당 조응천 의원이 사용했지만 옮길 계획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썼던 545호는 공실이다.

20대 국회에서 당직을 맡아 의원실을 자주 쓸 일이 없었던 다선들도 옮기려는 의지가 강하다. 민주당 원내대표를 맡았던 이인영 의원은 440호를 떠날 예정이다. 낮은 층인 데다 창밖으로 주차장만 보이기 때문이다.

글 사진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20-05-15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