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억 ‘링크K’ 北전자교란에 취약”

“700억 ‘링크K’ 北전자교란에 취약”

입력 2011-09-09 00:00
업데이트 2011-09-09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규백 의원 “송수신 과정 주파수 변동 안 돼”

군이 개발 중인 한국형 합동 전술데이터링크체계(JTDLS), 일명 ‘링크K’가 북한의 전자교란(재밍)에 취약한 치명적 약점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술데이터링크 체계는 무기 체계 간 전술정보 교환을 위해 지휘통제 체계와 무기 체계를 연동하는 실시간 디지털 통신망을 가리킨다. ‘링크K’는 육·해·공군별로 나뉘어 있는 전술 데이터 링크를 합동전력 간에 디지털 전장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하나로 통합해 한국군의 독자적인 합동작전 수행을 담보하는 체계다. 군은 2007년 12월 링크K 개발 사업 추진 기본전략을 세우고 2009년부터 69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13년 전력화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민주당 안규백 의원은 8일 “군이 개발 중인 링크K는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주파수를 시시각각 변동해 주는 ‘주파수 호핑’이 되지 않아 적의 재밍에 극도로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군 관계자는 “현재까지 여러 데이터 링크체계 중 주파수 호핑이 되는 것은 미군이 50년 동안 개발해 사용하고 있는 ‘링크16’뿐”이라면서 “주파수 호핑 기능 미비에 따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지상뿐 아니라 위성을 통해서도 전달되기 때문에 재밍 위험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해명했다.

한편 지난 3월 북한이 우리 측을 향해 전파교란을 시도했을 때 우리 군 함정은 물론 미군 정찰기까지 재밍을 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최근 국회 국방위에 제출한 ‘합동참모본부 전파교란 실무대책위원회’ 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4일 오후 3시 32분부터 다음 날 새벽까지 전파교란으로 인해 인천해역방어사령부 소속 연안 경비정과 고속정과 민항기 3~8대의 위성위치정보시스템(GPS)에 장애가 일어났고, 미군 정찰기 RC-7B도 같은 이유로 40여분 만에 귀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1-09-0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