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흑자액의 39%가 FTA 체결국서 나와”

“무역흑자액의 39%가 FTA 체결국서 나와”

입력 2011-10-19 00:00
업데이트 2011-10-19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들과의 무역에서 지난해 거둔 흑자가 188억 달러로 전체 무역흑자액의 3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FTA 국가의 무역비중이 17%인 점을 감안하면 FTA체결에 따른 교역확대가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이 됐다는 설명이다.

18일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의 ‘FTA의 실증적 경제효과’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와 FTA를 발효중인 5개 국가 및 권역을 대상으로 교역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기준 교역액은 1539억 달러를 기록했다. 조사대상은 칠레, 싱가포르,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아세안, 인도 등으로 지난 7월 이후 FTA가 발효된 유럽연합(EU), 페루는 제외됐다.

지난해 5개 국가 및 권역으로의 수출액은 863억 4000만 달러, 수입액은 675억 4000만 달러로 188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해외 교역총액이 8915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가 484억 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국가 및 권역의 무역 및 흑자비중은 각각 17.3%, 39%에 이르는 셈이다.

FTA 발효전 교역규모가 925억 달러, 무역 흑자가 70억 달러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교역은 60%, 무역수지는 168% 늘었다. 2004년 FTA가 시행된 칠레의 경우 1년전 교역액이 18억 5000만 달러(수출 5억 2000만 달러, 수입 13억 3000만 달러)였으나 발효 7년차인 지난해 교역액이 71억 7000만 달러(수출 29억 5000만 달러, 수입 42억 2000만 달러)로 3배가 넘게 늘었다. 수출은 462%, 수입은 218% 늘어 수출증가 규모가 더 컸다.

2007년 관세가 사라진 아세안은 교역액이 618억 달러에서 지난해 973억 달러로 커졌고 무역수지 흑자는 23억 달러에서 91억 달러로 확대됐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1-10-19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