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베이성 교민 100여명… “현지 생업·한국 내 무연고 등으로 귀국 못해”

후베이성 교민 100여명… “현지 생업·한국 내 무연고 등으로 귀국 못해”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2-12 17:47
업데이트 2020-02-12 17: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일 교민·가족 147명 귀국… 3차 전세기 통해 현지 교민 위한 마스크 등 지원

이미지 확대
아이 꼭 안고
아이 꼭 안고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거주 중인 교민들이 12일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해 전세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0.2.12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진원지인 우한에 현지 교민 철수를 위해 투입한 3차 전세기가 12일 귀국한 가운데 우한을 포함한 후베이성에 아직 교민 100여명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현지 생업을 놓을 수 없거나 한국에 연고가 없어 귀국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교민과 중국 등 외국 국적 가족 147명은 이날 정부의 3차 전세기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했다. 이들 가운데 발열 등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보인 5명은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됐고, 나머지는 임시생활시설로 지정된 경기 이천 합동군사대학교 국방어학원으로 이동했다.

정부는 우한을 포함한 후베이성에 교민 100여명이 잔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지 직장에 출근해야 한다든가 한국에 연고가 없어 잔류하신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3차 전세기 탑승을 희망했으나 막판에 탑승이 좌절되거나 탑승을 포기한 교민과 가족도 있었다. 애초 탑승을 신청한 교민·가족은 190여명이었다. 강형식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은 12일 “특히 우한 지역 이외에 거주자가 이번에 많았는데 현지에 (공항까지 오는) 교통편이 마련되지 않아서 (포기했다)”며 “그리고 생업이라든가 직장 출근, 국내 무연고 등 사유로 마지막에 국내 (귀국)을 포기한 경우도 있었다”고 했다.

아울러 여권이나 비자(사증)을 갖고 있지 않아 탑승하지 못한 교민·가족도 있었으나 중국 등 외국 국적자가 한국인 가족과의 관계를 증명할 서류를 구비하지 못해 탑승하지 못한 사례는 없었다고 전했다.

한국인 부부 1쌍은 우한 텐허공항에 도착했으나, 검역 과정에서 남편이 유증상자로 분류돼 탑승하지 못하게 됐고, 부인도 탑승을 포기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현지 잔류 교민을 위해 3차 전세기를 통해 마스크와 의료용품 등을 현지에 전달했다. 현지 교민들이 자체적으로 이동 진료소 운영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물품들도 지원됐다.

정부는 현재까지 4차 전세기 투입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상황은 모니터링하겠지만 지금으로선 전세기 투입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