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거부한 팔 유엔 가입, 한국은 왜 찬성표 던졌을까

미국이 거부한 팔 유엔 가입, 한국은 왜 찬성표 던졌을까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4-04-22 00:44
업데이트 2024-04-22 0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개국 기권… 美 거부로 부결됐지만
외교부 “두 국가 해법 지지 재표명”
이스라엘, 12개 찬성국 대사 초치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우리나라가 최근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을 권고하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 표결에 찬성표를 던진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표결에서 15개 이사국 중 한국을 포함해 12개국이 찬성표를 던졌고 영국과 스위스는 기권했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미국은 거부권을 행사해 팔레스타인의 유엔 가입은 부결됐다.

21일 외교부 등에 따르면 우리 정부가 찬성표를 던진 건 팔레스타인의 가입 적격성, 가자지구 민간인 피해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 중동 평화 달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였다. 외교부 관계자는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하고 이를 위한 정치적 프로세스의 추동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분명한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면서 “대한민국 역시 냉전으로 인해 40년 넘게 유엔 회원국 가입을 못 했던 아픈 역사가 있다는 점도 감안했다”고 말했다.

두 국가 해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각자 정부를 세워 평화롭게 공존하는 방안으로, 1993년 당시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이 미국의 중재로 체결한 오슬로 협정에서 합의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정착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으로 국제사회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현재 이스라엘 정부는 두 국가 해법을 거부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갈수록 존재감이 커지는 남반구 신흥국과 개발도상국, 이른바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견인하려는 의지를 보여 준 측면도 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한국을 포함해 안보리 표결에서 찬성표를 던진 12개국 대사들을 순차적으로 초치해 ‘강한 항의’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렌 마모스타인 이스라엘 외교부 대변인은 “이들에게 전달할 메시지는 ‘지난해 10월 7일 대학살이 벌어진 지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팔레스타인을 향한 정치적 손짓과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자는 요구는 테러리즘을 향한 보상’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은 2011년에도 유엔에 정회원국 가입을 신청했지만 당시 안보리 이사국 사이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표결까지 가지 못했고, 이듬해 유엔 총회 결의를 통해 비회원국 옵서버 국가 지위를 획득해 현재까지 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강국진 기자
2024-04-22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