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집단 히스테리 나타나지 않을 것”

“北 집단 히스테리 나타나지 않을 것”

입력 2011-12-20 00:00
업데이트 2011-12-2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 “김일성 때와 달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과 관련, TV에 비친 평양시민들은 슬픔에 빠진 모습이었다. 지하철과 거리를 지나는 북한 주민들은 울먹이거나 비통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일각에선 1994년 7월 김일성 주석 사후에 나타난 집단 히스테리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충성도가 다르기 때문에 1994년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김병로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는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김정일 정권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해 보면 50~55% 정도로 나타난다.”면서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감정 상태가 다르고, 충성도는 (김정일이) 확연히 낮게 나타난다. 이전과 같은 집단 히스테리의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북쪽에서 핵심 군중이라고 부르는 군인과 고위계층을 중심으로는 집단 히스테리 증상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라면서 “만약 핵심 군중을 중심으로 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북한)중앙의 언론이 확대 재생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도 “김일성 주석 사망 때보다는 북한 주민들의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당시보다 북한 주민들의 충성도가 낮은 것이 주요 원인이지만 1990년대와 지금 북한 주민의 의식수준이 많이 바뀐 것도 주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현재 ‘북한 체제가 어떻게 될 것이다. 주민들이 어떻게 할 것이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남북 관계의 개선을 위해선 우리 사회가 좀 더 조심스럽게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12-20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