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한반도’ 작가 김진명이 내다본 북한의 미래

소설 ‘한반도’ 작가 김진명이 내다본 북한의 미래

입력 2011-12-20 00:00
업데이트 2011-12-2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중파·非친중파 권력투쟁 일어날 것”

“우리 국민이 60년간 미루고 피해 오던 상황과 이제 맞닥뜨렸습니다.”

소설 ‘한반도’ 등을 통해 ‘소설이란 드러난 사실보다 더 진실하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세계사의 흐름을 천착해 온 소설가 김진명(53)씨는 19일 “김정일(북한 국방위원장)의 죽음으로 남한 국민들은 중대한 선택의 문제 앞에 놓이게 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진명
김진명
이미지 확대
그는 “남한 사람들은 앞으로 북한으로 말미암아 불똥이 튀지 않기만을 바랄 것이다. 그러려면 (후계자로 거론되는) 김정은이 아버지를 이어받아 군과 잘 협조해서 북한을 끌고 나가줘야 하지만 김정은은 군을 다스릴 만한 경륜이 없어서 어떤 사태가 날 수밖에 없다.”고 예견했다.

이어 지금 김정은은 중국에 기대어 있기 때문에 당분간 북한은 친중파가 장악할 것으로 보이나 친중파와 비(非)친중파 간에 권력 투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가 가장 겁내는 것은 북한에 내란이 일어나고 중국군이 북한에 주둔하는 것인데 그게 일어날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북한은 현재 혼자 설 수 없는 나라인 만큼 중국이 대거 북한을 접수할 겁니다. 그때 우리 국민은 중국의 행태를 못 본 척할 것이냐, 아니면 강력하게 경고하고 개입해야 할 것이냐를 선택해야 합니다.”

김 작가는 최근 중국 선원이 우리 해양 경찰을 살해한 사건을 들었다. 그는 “그동안 우리가 못 본 척 외면하고 양보하면서 국경을 침범하는 중국 어선을 조금씩 봐주고 부드럽게 하다 결국 우리 해경이 살해당하는 사태가 나지 않았느냐.”면서 “중국이 자꾸 북한에 개입하고 하나씩 장악하는 것을 모른 척 받아들이면 우리는 무사할지 몰라도 우리 자식이 전쟁터로 내몰리는 사태가 틀림없이 생길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이어 지금 우리가 북한에 대해 해야 할 일은 힘들더라도 단호하게 홀로 일어서는 것을 도와줘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다만, 중국이 북한에 개입하는 것은 철저하게 경고해야 하고, 그 경고를 듣지 않을 때는 충돌까지 피하지 않겠다는 정신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일본에 대해서는 “자연스럽게 한국과 미국, 일본은 뭉칠 것이나 중국의 실질적인 북한 장악에 대해 미국이나 일본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우리가 주체가 되어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잘라말했다. 그는 “해경 사건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중국이 북한을 먹으면 다음은 당연히 우리 차례다. 이 시점이 우리가 싸워야 하는 순간이다. 피하면 나중엔 꼼짝 못하게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12-20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