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세 김정은 리스크’ 전문가 분석

‘27세 김정은 리스크’ 전문가 분석

입력 2011-12-24 00:00
업데이트 2011-12-24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더 콤플렉스’ 적고 ‘파더 피겨’ 몸부림

김일성 주석·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 이어지는 ‘백두혈통’의 후계자 김정은의 나이는 29세다. 북한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나이다. 반면 우리 정부는 27세로 보고 있다. 29세든 27세든 김정은의 사회적 나이는 훨씬 성숙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진단이다. 어렸을 때부터 엘리트 교육을 받은 데다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북한 내부의 권력 암투를 지켜보며 커 온 까닭에서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의 개인적인 면모는 알려진 게 없다. 스위스 베른에서 공립학교를 다니던 10대 시절 동창들의 경험담, 김 위원장의 전속 요리사로 11년 동안 측근에서 일했던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의 저서와 증언을 통해 간략하게 알려졌을 뿐이다. 김정은의 육성이 공개된 적도 없다. 김 위원장의 사망 이후에도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현재로선 관측과 추측뿐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김정은의 정신적 성숙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은다. 일반적인 29세와는 다르다는 얘기다. 이윤걸 북한전략정보서비스 대표는 “2006년이나 2007년쯤 내부적으로 후계자로 지명돼 제왕교육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 앞에 선 지 1년에 불과하지만 이미 ‘충분한 준비를 마친 이후’라는 것이다. 다른 북한 전문가도 “트레이닝 결과 김정은을 또래보다 훨씬 성숙한 상태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권준수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심리적 요인에 의해 휘둘리기보다 여러 가지 정치적 상황에 의해 계산된 행동을 할 개연성이 더 높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마더 콤플렉스’(mother complex)도 신빙성이 낮다. 김창윤 서울아산병원 정신과 전문의는 “2004년 어머니 고영희의 사망 이후 정권차원에서 관리가 이뤄졌을 것”이라면서 “어머니의 부재가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대신 최영민 인제대 의대 교수는 “김정은은 백두혈통인 아버지 김 위원장을 닮아 가려고 하는 ‘파더 피겨’(father figure)가 되기 위해 애쓸 수 있다.”고 내다봤다.

권력투쟁은 정치적 상처를 남길 수밖에 없다. 지금껏 드러난 사실로 미뤄 볼 때 김정은이 치열한 권력투쟁을 통해 ‘영도자’의 위치에 섰다는 근거는 그다지 뚜렷하지 않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김정은은 3남이기 때문에 비교적 스트레스가 덜했을 것”이라면서 “권력투쟁 과정에서 심리적인 영향을 덜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오히려 권 교수는 “이복 형제들이 많고 또 이것이 권력과 연결됐다는 것이 김정은의 경쟁심을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한 대북전문가는 “권력을 물려받았지만 예전만 못하다는 것을 김정은도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유교적 질서가 우리 사회보다 공고한 북한에서 어린 나이에 정권을 이끄는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후계자로 부상한 이후 4년 동안 대외 문제에 나서지 않은 만큼 김정은도 상당기간 내치에만 매달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12-24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