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북한 내 국군포로 신상노출 자제요청’ 서한

국방부, ‘북한 내 국군포로 신상노출 자제요청’ 서한

입력 2013-05-24 00:00
업데이트 2013-05-24 1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 귀환 국군포로 ‘지나친 통제’ 반발

국방부가 귀환 국군포로들에게 북한에 있는 국군포로의 신상정보를 노출하지 않도록 요청하는 서한을 보내 일부에서 반발을 사고 있다.

국군포로의 국내 송환운동을 벌이는 민간단체인 물망초는 국방부가 이달 22∼23일 국내에 생존해 있는 귀환 국군포로 51명에게 발송한 서한을 24일 연합뉴스에 공개했다.

국방부는 서한에서 북한의 국군포로 명단이 최근 민간단체와 언론을 통해 일부 공개된 데 대해 “북한지역에 계신 국군포로와 그 가족들의 신변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매우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북한당국의 엄격한 통제와 감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국군포로들의 실명과 거주지 등의 정보가 공개될 경우 이들에 대한 감시가 강화돼 신변에 위해를 당할 수 있다”며 “민간단체나 언론에서 북한에 거주중인 국군포로의 정보를 문의할 경우 이 같은 문제점을 생각해 실명 등 신상을 파악할 수 있는 사항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일부 귀환 국군포로는 국방부의 지나친 통제라며 반발했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귀환 국군포로는 “우리를 보호한다는 미명 하에 언론 접근도 막더니 이젠 ‘가족 안위’ 운운하며 협박까지 한다” 등의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고 물망초의 박선영 이사장이 전했다.

지난달 물망초는 자체 조사를 통해 중국과 가까이 있는 북한의 탄광지역에 국군포로 113명이 생존해 있다면서 이들의 명단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서한을 보낸 국방부 군비통제과의 백경희 과장은 “과거 귀환 국군포로의 신상이 공개된 후 북한의 가족들이 처형되거나 행방불명된 사례에 대한 제보가 있었다”며 “최근의 명단 공개에 대해 북한 국군포로 가족들의 우려도 커서 이런 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서한을 보냈을 뿐 다른 의도는 없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