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보유 정찰·공격용 무인기 성능은

북한군 보유 정찰·공격용 무인기 성능은

입력 2014-04-06 00:00
수정 2014-04-06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존 무인기, 성능 상대적 우수하나 탐지 가능추락한 소형 무인기, 탐지 어렵지만 성능 떨어져

북한의 소형 무인기가 서해 백령도와 경기도 파주에 추락하면서 북한이 보유한 무인기의 성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6일 “북한은 4∼5종의 정찰용 혹은 공격용 무인기를 보유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며 “이번에 추락한 것은 새로 등장한 소형 무인기”라고 밝혔다.

기존 무인기는 상대적으로 성능이 우수하나 우리 군의 레이더에 탐지되는 반면 새로운 형태의 소형 무인기는 레이더로 탐지되기 어렵지만 성능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북한이 보유한 대표적인 무인기는 중국의 무인비행기(D-4)를 도입해 자체 개조한 정찰용 ‘방현-Ⅰ·Ⅱ’다. 이 무인기는 최전방 부대에 300여대가 실전 배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길이 3.6m에 날개폭 4.8m인 이 무인기는 고도 3㎞에서 최대 시속 162㎞로 비행한다. 휘발유 엔진으로 낙하산을 펼쳐 지상에 착륙하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북한은 ‘VR-3 레이’와 ‘프라체-1T’ 무인기도 운용 중이다.

VR-3 레이는 길이 8m에 작전반경 90㎞, 프라체-1T는 길이 2.78m에 작전반경 60㎞로 알려졌다.

북한은 공격과 정찰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목적 무인기도 개발 중이다.

’두루미’로 불리는 이 무인기는 길이 5m, 날개폭 3m, 무게 35㎏, 비행거리 350㎞로 파악되고 있다.

작년에는 저공으로 비행하는 항공기와 순항미사일을 공격하는 ‘무인타격기’를 개발해 실전 배치한 사실도 공개했다.

미국산 고속표적기인 ‘스트리커’(MQM-107D)를 개조한 것으로 알려진 이 무인타격기는 길이 5.8m, 날개폭 5.6m에 추진 기관은 제트 엔진, 최대 속력은 시속 40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추락한 북한의 소형 무인기는 기존 무인기에 비해 크기가 작다.

파주에 추락한 무인기는 날개폭 1.92m, 동체길이 1.43m, 중량 15㎏였고,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기는 날개폭 2.45m, 길이 1.83m, 중량 12.7kg였다.

두 소형 무인기의 탑재 중량은 1㎏, 최대 속도는 100∼120㎞/h, 비행고도는 1∼1.5㎞ 수준이다.

최대 비행거리는 150∼200㎞로 일반용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어 정찰용 무인기로서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게다가 파주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소형 무인기가 각각 엔진고장, 연료부족으로 추락한 것으로 볼 때 성능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기존 북한 무인기는 우리 군이 보유한 레이더에 탐지되나 이번에 추락한 무인기는 탐지가 어렵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소형 무인기도 탐지할 수 있는 저고도레이더를 해외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