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함께하는 ‘공동문화구역’ 남북통합문화센터 온라인 개관

탈북민 함께하는 ‘공동문화구역’ 남북통합문화센터 온라인 개관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0-05-12 14:34
업데이트 2020-05-12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이탈주민과 지역주민이 다양한 문화활동을 통해 교류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 ‘남북통합문화센터’가 오는 13일 온라인으로 개관한다. 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으로 우선 개관하지만 방역 상황에 따라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늘려갈 예정이다.

서울 강서구 마곡동에 자리잡은 남북문화센터는 도서관, 취미강좌, 평화체험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구비되어있다. 지역 주민과 탈북민 문화를 매개로 소통하면서 화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됐다.

온라인 개관 첫째날인 13일엔 남북 전통요리 전문가들이 남측과 북측의 비슷한 요리를 설명하는 프로그램이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고 평화를 주제로 한 전문가 토론회가 줌(Zoom·화상회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열릴 예정이다.
남북통합문화센터 전경(통일부 제공)
남북통합문화센터 전경(통일부 제공)
또 ‘사랑의 불시착’ 등 영화와 드라마 속 북한 말에 대해 이야기하는 남북통합문화 포럼도 온라인으로 스트리밍 될 예정이다.

오프라인에서도 탈북민과 일반 주민이 소규모 그룹을 만들어 성장 과정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남북생애나눔대화’는 이달부터 시작된다.

이밖에 탈북민들의 문화콘텐츠 창작 지원과 봉사활동, 심리 치유 프로그램도 시작될 예정이다. 남북통합문화센터의 기획 전시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설사로 활동할 수 있는 도슨트 과정도 시작된다. 평화통일 도서관은 인터넷 사전 예약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지난 2012년 국회서 건립 필요성이 제기돼 2018년 착공한 남북통합문화센터엔 총 235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통합문화센터는 탈북민과 지역주민들 사이의 마음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문화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시작됐다”며 “앞으로는 남북하나재단과 협의해 탈북민들의 이동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