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전 北미사일과 궤적·제원 달라”… 고체연료 땐 탐지·대응 어려워

“이전 北미사일과 궤적·제원 달라”… 고체연료 땐 탐지·대응 어려워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4-14 02:12
업데이트 2023-04-14 06: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새로운 미사일’ 무게

軍 “정상각도 땐 5000㎞ 비행”
ICBM 확인 땐 올해만 3번째


이미지 확대
북한이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13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2023.4.13 연합뉴스
북한이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13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 관련 뉴스가 나오고 있다. 2023.4.13 연합뉴스
북한이 13일 시험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우리 군은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유형의 고체연료 사용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시험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탄도미사일 제원에 대해 “새로운 체계의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급 이상”이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새롭다’는 표현을 쓴 이유에 대해 “궤적뿐 아니라 여러 제원에서 지금까지 북한이 발사했던 미사일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북한이 평양 인근에서 고각(高角·비행거리를 줄이기 위해 발사 각도를 높이는 것)으로 발사한 미사일은 북동쪽으로 1000㎞를 비행한 뒤 동해상에 떨어졌다. 이를 정상각도(30~45도)로 발사했다고 가정하면 5000㎞가량 비행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과거에 시험발사한 IRBM이나 ICBM에선 볼 수 없었던 제원이다.

합참은 “정상각도로 계산해 보면 IRBM과 ICBM에 애매하게 걸친다”고 말했다. 통상 사거리 3000∼5500㎞를 IRBM, 5500㎞ 이상을 ICBM으로 분류한다. 합참의 평가는 고체연료 사용 ICBM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정밀 분석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 ICBM으로 단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고체연료를 사용했을 가능성이다. 합참 역시 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고체연료는 건전지처럼 탄도미사일에 상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과 주입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액체연료와 달리 신속한 발사가 가능하다. 게다가 고체연료 미사일을 이동식발사대(TEL) 차량으로 운용하면 더 은밀하게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어서 인공위성 등의 정찰 자산을 통한 감시 활동이 그만큼 어려워진다. 순간 추력도 강하기 때문에 상승 속도도 액체연료 사용 미사일보다 빠르다. 이는 우리 군이 추구하는 ‘킬체인’(사전 탐지와 발사 직전 타격)에 그만큼 허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위협적이다.

미사일 발사 과정에서 ‘단 분리’가 된 것도 확인됐다. 따라서 전체 3단의 고체 추진 ICBM을 시험하기 전 2단 추진체 시험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이 이날 쏜 미사일이 ICBM으로 최종 확인되면 2월 18일 ‘화성15형’, 3월 16일 ‘화성17형’에 이어 올 들어 세 번째가 된다. 북한은 앞선 두 차례 ICBM 발사 때는 평양 순안국제공항 일대를 발사 장소로 택했고, 비행거리는 각각 900㎞와 1000㎞였다.
강국진 기자
2023-04-14 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