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서동철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서동철 기자입니다.
최신 뉴스
  • 日 아스카 세계유산 추진

    日 아스카 세계유산 추진

    우리 역사학계는 ‘일본서기’를 ‘맹독(猛毒)만 잘 제거하면 고급스러운 맛을 볼 수 있는 복어’에 비유하곤 한다. 720년 편찬된 ‘일본서기’는 일왕 중심 국가를 완성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에 따라 역사를 재구성한 만큼 윤색되거나 굴절된 내용이 적지 않다. 한반도를 비롯한 주변국을 모두 일왕에게 조공을 바치는 존재로
  • 요즘 커피

    요즘 커피

    ‘차점(茶店) 동(Don)은 나에게도 중하고 귀한 곳이었다. 그곳을 바라고 나는 거의 일요일마다 10리의 길을 걸었다. 동은 나에게 향기를 준 곳이었다.’소설가 이효석이 1936년 발표한 수필 ‘고요한 동의 밤’ 일부이다. 그가 이야기한 ‘향기’의 주체는 짐작처럼 커피다. 1932년 함경도 경성농업학교 영어 교사
  • ‘2024 이병주국제문학상’ 대상에 소설가 김종성

    ‘2024 이병주국제문학상’ 대상에 소설가 김종성

    제17회 이병주국제문학상 대상 수상자로 소설가 김종성(사진)이 선정됐다. 이병주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이병주국제문학상은 ‘관부연락선’, ‘지리산’, ‘산하’의 작가 이병주(1921-1992)의 문학정신을 기리고자 제정됐다. 대상 상금은 2000만원.수상작은 김종성의 세 번째 연작소설집인 ‘가야를 찾아서’(서연비람)
  • 통진에서 병자호란을 바라보니

    통진에서 병자호란을 바라보니

    학창 시절 친구가 손수 번역했다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역사 기록 여러 권을 사과 상자로 부쳐 준 것이 벌써 오래전이다. 그럼에도 며칠 전에야 ‘강도일기’(江都日記)를 끝으로 모두 읽었으니 이제야 마음의 빚을 조금 덜어낸 느낌이다. 병자호란 당시 경기좌도 수운판관이던 어한명(1592~1648)이 강화도로 건너가는
  • 나 같은 줄 알고

    나 같은 줄 알고

    뭘 찾느라 서랍을 뒤지는데 옛날 사진 한 뭉치가 나왔다. 오래전 해외여행에서 찍은 것들이었다. 조금씩 빛이 바래 가는 사진들은 분량이 적지 않았는데 상당수는 어디서 찍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았다. 그저 에펠탑이 뒤에 보이면 파리인가 보다 했을 뿐이다.생각해 보니 누군가 카메라에 필름을 넣어 사진 찍고 현상·인화를
  • “내 작은 박물관은 개발로 묻힐 유적을 후세에 알리는 최후 보루”

    “내 작은 박물관은 개발로 묻힐 유적을 후세에 알리는 최후 보루”

    충북 청주시의 상징 로고는 ‘청주’라는 글자 오른쪽에 초록색 볍씨 한 톨이 자리잡은 모습이다. 이 볍씨, 곧 씨앗은 생명과 창조의 도시를 상징한다는 설명이 뒤따른다. 청주시가 이런 로고를 만들게 된 배경에 세계에서 가장 오랜 볍씨가 출토된 청주 소로리 유적이 있다. 소로리 볍씨란 오창과학산업단지 조성을 앞두고 1
  • 난카이 대지진과 한반도

    난카이 대지진과 한반도

    제주 읍지(邑誌)인 ‘증보 탐라지’는 1707년(숙종 33)의 지진해일을 기록하고 있다. 오늘날 기상용어로 쓰이는 지진해일(地震海溢)이라는 표현이 있어 기상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한자문화권에서 지진해일은 특정한 용어라기보다 문장 속에서 ‘땅이 울리고 바다가 넘쳤다’는 서술적 표현으로 등장하곤 한다.‘탐라지
  • 맛있는 짝퉁

    맛있는 짝퉁

    휴일에는 안마의자에 앉아 TV를 보며 과자를 먹곤 하는데 요즘엔 소라과자며 고구마과자에 자주 손이 간다. 두세 봉지를 한데 묶어 싸게 파니 그것도 좋다. 단맛이 강한 다른 과자는 동네의원 의사 선생님 얼굴이 떠올라 먹어도 한두 조각에 그치곤 한다. 물론 이런 과자나 저런 과자나 의사 선생님이 보기에는 오십보백보일
  • 압록강 행진곡

    압록강 행진곡

    ‘나가 나가 압록강 건너 백두산 넘어가자.’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독립군이 부르던 ‘압록강 행진곡’의 일부다. ‘압록강을 건너고 백두산을 넘어서’ 회복해야 하는 땅은 당연히 한반도다. 나라 밖에서 나라 안으로 ‘진격’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유일한 노래일 것 같다.작곡자는 한국광복군 중교(中校·중령) 한형석
  • 활의 나라

    활의 나라

    파리올림픽에서 한국은 양궁 종목에 걸린 금메달 5개를 모두 휩쓸었다. 기자회견에서는 “한국이 이렇게 양궁을 잘하는 이유가 뭐냐. 고구려 시대부터 활쏘기를 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는 외국기자의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삼국사기’는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을 두고 “겨우 일곱 살이었을 때부터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었고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