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 강영우 전 美차관보 사법연수원 특강

시각장애인 강영우 전 美차관보 사법연수원 특강

입력 2010-03-11 00:00
업데이트 2010-03-1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로벌리더는 섬김의 리더십 가져야”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꿈에 대한 헌신’과 ‘긍휼히 여기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강영우(가운데) 박사가 10일 경기 고양시 사법연수원에서 제41기 사법연수원생을 대상으로 강연하기 직전 시각장애인 최영(왼쪽)씨 등 연수원생들과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영우(가운데) 박사가 10일 경기 고양시 사법연수원에서 제41기 사법연수원생을 대상으로 강연하기 직전 시각장애인 최영(왼쪽)씨 등 연수원생들과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시각장애인 최초로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지낸 강영우(66) 박사는 10일 오전 경기 고양시 사법연수원에서 제41기 사법연수생을 대상으로 ‘글로벌리더가 되는 3대 여건, 3C-실력(Competence), 인격(Character), 헌신(Commitment)’이라는 주제로 한 특강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강 박사는 하버드대학 연구 결과를 인용해 “3단계 인생의 목표를 가진 사람들을 조사해 보니 25년 뒤 3가지를 모두 갖춘 3%는 글로벌 리더가 돼 있었고,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꿈 없이 2가지만 갖춘 20%는 지역사회의 리더, 나머지는 소시민이 돼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법고시 합격에 만족하지 말고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꿈을 가지고 글로벌 리더가 돼 달라.”고 당부했다.

강 박사는 또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덕목으로 권위에 의해 다스리는 리더가 아니라 ‘섬김의 리더십’을 강조하며 미국 라과디아 판사의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 “라과디아 판사가 배가 고파 빵을 훔친 독거 노인을 재판하면서 10달러의 벌금형에 처하며 자신이 벌금을 대신 내주고 배심원들에게도 사회적 책임을 물어 1달러씩 내도록 해 노인에게 줬는데, 이는 고통을 함께 나누는 섬김의 리더”라고 설명했다. “인격 가운데 정직이 가장 중요하지만 긍휼히 여기는 마음도 섬김의 지도자가 갖춰야 할 덕목”이라고 덧붙였다.

강 박사는 이날 특강에 앞서 시각장애인 최초로 사법연수생이 된 최영(29)씨 등 장애가 있는 연수생을 만나 대학 입학과 미국 유학 당시 겪었던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며 “적응하는 것도 능력”이라고 격려했다.

강 박사는 중학교 때 사고로 시력을 잃었지만 1972년 연세대를 졸업, 197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미 백악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지냈다. 그는 현재 유엔 세계장애인위원회 부의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지훈기자 kjh@seoul.co.kr
2010-03-1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