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총무원 직영사찰로

봉은사, 총무원 직영사찰로

입력 2010-03-12 00:00
업데이트 2010-03-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삼성동 도심에 서 있는 사찰 봉은사가 조계종 총무원의 직영사찰로 운영된다. 조계종은 11일 열린 임시중앙종회(임시국회 격)에서 이와 같은 내용의 안건을 통과시켰다. 애초 이에 대해 ‘총무원의 일방적 결정’이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탓에 이후에도 진통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안건이 통과됨에 따라 총무원 직영사찰은 총무원이 위치한 조계사와 강화도 보문사, 봉은사 3곳이 됐다. 직영사찰이었던 ‘팔공산 갓바위’ 선본사는 이날 종회에서 특별분담금사찰로 지위가 전환됐다.

직영사찰은 총무원장이 당연직 주지를 맡는 사찰로 재정 역시 총무원에 귀속된다. 관리 주지를 따로 두지만 이는 말 그대로 관리인 역할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특별분담금사찰은 지역 교구에 소속돼 있고 단지 일반 사찰보다 총무원으로 내는 분담금의 요율이 높을 뿐이다. 이들은 주로 재정수입이 큰 사찰을 중심으로 지정한다.

이 때문에 봉은사에서는 반발이 크다. 봉은사는 2006년 현 주지인 명진 스님이 취임 이후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였다. 산문 출입을 끊고 하루 1000배를 하는 스님의 1000일 정진, 신도에 의한 재정 관리 등 재정 투명화 등으로 봉은사는 불교계의 상징적인 의미를 갖게 됐다.

예산 규모도 취임 첫해 86억원에서 올해 136억원으로 늘었다. 총무원 한 해 예산이 300억원가량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다. 이렇다 보니 봉은사 신도들 사이에는 “봉은사가 총무원의 돈줄이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편 총무원은 이 결정이 ‘거점사찰 육성방안’에 따른 것이라고 말한다. 총무원 기획실장 원담 스님은 “강북의 조계사, 강남의 봉은사를 거점으로 해서 수도권 포교를 체계화하겠다는 것”이라면서 “명진 스님의 운영 원칙을 바꾸지는 않겠다.”고 설명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3-12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