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슬픔 넘어 해외로 퍼진 아리랑을 아시나요”

“전쟁의 슬픔 넘어 해외로 퍼진 아리랑을 아시나요”

입력 2010-03-13 00:00
업데이트 2010-03-13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25 60주년 특별전 여는 진용선 추억의박물관장

“전쟁이라는 가늠할 수 없는 슬픔과 절망 속에서도 아리랑이란 이름을 달고 해외에 퍼져 나가게 된 스카프, 손수건, 라이터, 엽서, 사진, 음반 등 아주 특별한 실물 희귀자료들을 공개하고 같이 추억해 보자는 것이지요.”

이미지 확대
1958년 중국 옌볜에서 발행된 아리랑 잡지(왼쪽)와 1960년대 쓰리랑 작은 성냥. 오른쪽은 진용선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장.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 제공
1958년 중국 옌볜에서 발행된 아리랑 잡지(왼쪽)와 1960년대 쓰리랑 작은 성냥. 오른쪽은 진용선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장.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 제공


정선아리랑연구로 잘 알려진 진용선(47·민속학자)씨는 강원도 정선에서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을 5년전에 개관해 ‘딱지의 추억’, ‘노래책으로 보는 세상’, ‘아리랑, 일본에 스며들다’, ‘삐라의 추억’ 등 이색전시로 전국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삐라의 추억’은 5년 전 처음 전시할 때 뉴욕타임스에 크게 실렸고 일본 언론에도 소개됐다.

●아리랑 스카프·엽서 등 희귀자료 공개

올해에는 어떤 ‘관심거리’를 준비하고 있을까. 먼저 6·25 60주년을 맞아 ‘6·25전쟁, 아리랑의 기억’이란 특별전을 마련한다. 앞서 그가 언급한 대로 아리랑과 관계된 스카프 등 100여점의 실물자료들을 한데 모아 일반인에게 처음 공개하는 것. 그는 “6·25를 전쟁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우리 민요가 해외에 알려지는 광폭적인 계기가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7∼8월에는 19세기 말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한 초창기 고려인의 모습을 담은 1900년대 초반의 엽서와 당시 원본 사진을 대거 선보이는 엽서전 ‘러시아 땅의 조선인’을 개최한다. 이 전시가 끝나면 가치 있는 자료들을 모아 러시아와 일본 등 해외에서도 전시하는 네트워크를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이들 국가에서 전시제의가 들어오는 등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11월에는 일제 강점기 한강과 압록강, 두만강, 대동강에서 목재를 실어 나르던 옛 뗏목의 모습을 볼 수 있는 ‘한국의 뗏목 엽서전’을 준비한다.

아울러 지난 20년간 신문 광고지인 ‘찌라시’를 통해 탄광촌에서 폐광촌으로 전락한 신동읍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찌라시로 보는 신동읍 역사’도 마련할 예정이다.

●“코끝 찡한 향수 속으로 안내”

평소 진씨는 큰 박물관과는 다른 이색적인 주제와 내용의 전시를 통해 작은 박물관의 가치를 구현하는 데 방점을 찍고 꾸준히 노력해 온 것으로 평가받는다. 어려서부터 각별한 호기심으로 우표나 상표, 장난감과 딱지, 음반, 책 등을 부지런히 모아온 것이 오늘날 귀중한 자료가 됐다.

그는 아리랑학교 추억의 박물관에 대해 “우리의 기억 속에 잊혀진 추억의 자료를 통해 코끝이 찡한 향수 속으로 안내하고 기억을 되살릴 수 있는 공간이 되고자 한다.”면서 “옛 물건의 가치와 의미를 통해 어느 하나라도 소중하게 여기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문 부국장 km@seoul.co.kr
2010-03-13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