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중 연예인 얘기…김길태,심장없는 사람”

“조사중 연예인 얘기…김길태,심장없는 사람”

입력 2010-03-13 00:00
업데이트 2010-03-13 15: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치 남이야기를 하듯 담담한 표정으로 범행을 부인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부산 여중생 납치 살해사건 피의자인 김길태(33)의 정신·심리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피의자 조사에 참관하고 있는 해바라기 아동센터 김철권 소장(동아대병원 정신과 교수)은 13일 “피의자는 철저하게 기억과 감정을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부산 여중생 이모 양 납치살해 피의자 김길태가 12일 오후 구속전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부산 사상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 여중생 이모 양 납치살해 피의자 김길태가 12일 오후 구속전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부산 사상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 끔찍했던 기억…김길태 범행부터 검거까지

 김 소장은 “대부분의 범죄자는 자신의 범행과 관련된 기억이나 증거를 제시하면 동요하기 마련인데 피의자는 전혀 흔들림이 없다”며 “타인의 아픔을 이해하는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자기중심적 생각이 강하다”고 피의자를 지켜본 소감을 밝혔다.

 피의자 김 씨는 범행과 관련된 기억과 감정은 철저히 부인하고 있지만,자신의 개인적인 기억을 떠올리며 웃기도 했다고 한다.

 조사관과의 대화에서 김 씨가 지난해 안양의 이삿짐센터에서 일할 때 한 연예인의 이삿짐을 옮겼던 이야기를 하며 웃음을 지었다는 것.

 하지만,범행사실을 추궁하는 질문으로 돌아오면 다시 기억과 감정의 철저한 분리가 이뤄졌다.이에 대해 김 소장은 “자신의 기억에 최면을 거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피의자는 외톨이와 왕따로 자란 어린 시절의 기억 때문인지 사회에 대한 분노가 있다”며 “사회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런 분노를 타인과의 관계에서 해결하기보다는 범죄와 같은 행동으로 드러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특히 피의자가 총 11년간의 교도소 생활에서 복싱,달리기,팔굽혀펴기 등 꾸준한 운동으로 몸을 만든 것도 “세상에 믿을 사람 하나 없고 혼자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의 방증인 셈”이라고 김 소장은 말했다.

 김 소장은 피해자의 몸에서 김 씨의 DNA가 나왔다는 확실한 증거에 대해서도 “피의자가 납득할만한 설명 없이 막연하게 모른다고 답하고 있다”며 “피해자의 아픔을 전혀 고려치 않는 마치 ‘심장’과 ‘마음’이 없는 사람”이라고 분석했다.

 김 소장은 “피의자를 자백시키려면 억눌려 있는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인이나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심경변화를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