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명에 불과한 해외 실패사례

변명에 불과한 해외 실패사례

입력 2010-06-11 00:00
업데이트 2010-06-11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로호(KSLV-I) 2차 발사가 실패로 끝나자 교육과학기술부는 “발사 실패는 해외 우주선진국도 수차례 맛봤다.”며 나로호 실패를 있을 수 있는 일로 받아들였다. 지난해 1차 발사 때도 같은 말을 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첫 발사 실패는 1960~1970년대에 집중된 사례여서 변명에 불과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가장 자주 거론되는 사례가 바로 미국의 ‘뱅가드(Vanguard)’호다. 미국 최초의 위성발사체인 뱅가드호는 탱크 및 인젝터의 낮은 압력 때문에 연소실의 고온 가스가 연료시스템으로 새어 들어가 발사한 지 2초만에 폭발했다. 뱅가드호는 1957년 12월6일 발사됐다. 무려 53년 전 일이다. 영국(1단)·프랑스(2단)·독일(3단)의 합작품인 ‘Europa’호는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총 11회의 발사 중 7번의 실패를 기록했다. 유럽(EU)의 ‘Ariane-V’호도 1996년 6월4일 첫 비행에서 발사 36초 후 급격하게 궤도를 이탈한 끝에 공중폭발했다.

중국과 일본도 1960년대에 이뤄진 첫 발사에서 실패를 맛봤다. 중국은 1969년에 ‘CZ-1’호가, 일본은 1966년에 ‘Lambda-IV’호가 자세제어에 이상이 생겨 실패의 쓴잔을 마셨다. 2010년 나로호보다 40년 이전에 있었던 일이다. 인도의 ‘SLV’호 역시 우리보다 31년 전인 1979년에 첫 실패를 겪었다.

이처럼 무려 30~53년 전의 실패사례를 들어 나로호 실패도 이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나로호의 엔진은 첫 발사에 성공한 우주 선진국 러시아가 제작한 엔진이어서 실패가 심각하게 부각된다. 전 세계에 자국에서 발사체를 발사한 11개국 중 첫 발사에 성공한 나라가 단 3곳(성공률 27.2%)뿐인데 그 중 러시아가 포함돼 있을 만큼 러시아의 우주 기술력은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한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수십년 전 우주 선진국들의 발사 실패를 2010년에 들먹이는 것은 변명에 불과하다.”며 “이는 우리나라 과학기술력의 수준을 수십년 전으로 되돌려 놓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06-1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