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브라질 도전중… 작년 발사 北 무시못해

남아공·브라질 도전중… 작년 발사 北 무시못해

입력 2010-06-11 00:00
업데이트 2010-06-11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의 경쟁 국가는

러시아 미국 프랑스 일본 중국 영국 인도 이스라엘 이란. ‘스페이스 클럽’에 이름을 올린 국가들의 순서다.

‘스페이스 클럽’이란 우주비행 기술 역량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국가들의 비공식 연합체로 ▲자국의 추진로켓으로 발사했는가 ▲자국의 인공위성인가 ▲자국의 우주기지에서 발사했는가 등 세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가입할 수 있다.

10일 발사한 나로호가 성공적이었다면 우리나라도 이 클럽에 가입할 수 있었다. 21세기 우주 산업의 발전은 단순히 우주기술 개발 차원을 넘어 한 나라의 실질적인 국방력을 입증할 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산업·경제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대표적 지표로도 통용된다.

냉전시대에는 미국과 러시아가 우주 개발 분야의 양 축이었다면, 1980년대 이후는 유럽과 일본, 이스라엘 등의 참여가 두드러졌고, 현재는 우주 클럽 후보국인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베트남을 비롯해 나이지리아, 이집트, 필리핀 등도 우주 개발에 뛰어들어 그야말로 세계적인 무한경쟁을 방불케 하고 있다.

이처럼 너도나도 앞다퉈 우주 개발에 뛰어드는 것은 무엇보다도 위성과 발사체 개발 같은 우주기술 개발을 통해 다른 나라로 관련 기술을 수출하거나, 상업용 발사체 운영과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 등을 통해 막대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경제적 효과 때문이다.

하지만 이보다도 미래 부가가치가 훨씬 더 큰 대체에너지 개발이나 통신·방송서비스 발전, 재해재난 방지기술 확보 등 고부가가치 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매력이다.

특히 지역 패권을 노리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국가 차원의 우주로켓 개발에 전격적으로 뛰어든 아프리카의 남아공이나 남미의 7전8기 우주발사 도전국 브라질, 그리고 국제적 공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우리보다 앞선 2009년 4월 ‘광명성 2호’를 발사한 북한도 무시할 수 없는 경쟁국들이다.

고흥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6-11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