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각국의 발사 실패 사례

해외 각국의 발사 실패 사례

입력 2010-06-11 00:00
업데이트 2010-06-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10일 두번째 발사 실패를 겪었지만,발사 실패는 우주개발 강국들도 번번이 맛본 쓰라린 경험이다.

 과거 위성발사에 나섰던 국가들의 첫 발사 성공률이 27.2%에 불과하듯 기계공학,화학공학 등 모든 과학기술의 총합인 우주개발 기술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발사체 실패 원인으로는 추진시스템(액체 엔진 및 고체 모터,추력기,동력장치,연소실 등)의 문제가 66.2%로 가장 많았고,분리(단 및 페어링 분리 메커니즘,분리를 위한 전기적 연결) 문제가 12.6%로 그 뒤를 이었다.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10일 두번째 발사 실패를 겪었지만, 발사 실패는 우주개발 강국들도 번번이 맛본 쓰라린 경험이다.

과거 위성발사에 나섰던 국가들의 첫 발사 성공률이 27.2%에 불과하듯 기계공학, 화학공학 등 모든 과학기술의 총합인 우주개발 기술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발사체 실패 원인으로는 추진시스템(액체 엔진 및 고체 모터, 추력기, 동력장치, 연소실 등)의 문제가 66.2%로 가장 많았고, 분리(단 및 페어링 분리 메커니즘, 분리를 위한 전기적 연결) 문제가 12.6%로 그 뒤를 이었다.

항공전자공학(컴퓨터, 회로 보드, 비행안전 관련 장치 등)은 10.6%, 구조(고체 로켓 모터 내부 구조, 모터 케이스, 각종 탱크, 페어링 등)는 4.5%, 전기장비(전기 연결 및 배선, 전력 공급 장치 등)가 4%, 기타(번개 등의 기상환경, 통신 문제 등)가 2%를 차지했다.

각국의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 사례를 살펴본다.

▲미국 최초의 위성발사체였던 ‘뱅가드(Vanguard)’가 1957년 12월 6일 발사 2초 만에 폭발했다. 탱크와 인젝터의 낮은 압력 때문에 연소실의 고온가스가 인젝터를 통해 연료시스템으로 새 들어가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의 ‘아틀라스 G(Atlas G)’는 발사 49초 후 벼락에 맞아 비정상 기동 후 지상명령에 의해 파괴됐다. 번개 영향으로 발사체의 유도 메모리가 재작동 되고 나서 비정상적인 회전이 발생해 발사체가 부서지기 시작했고, 발사 70초 시점에서 파괴 명령이 송출돼 발사가 강제 중단됐다.

▲일본의 첫 우주발사체인 ‘람다(Lambda)’는 1966년 우주궤도 진입을 시도했지만, 발사체 제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실패로 끝났다. 또 ‘에이치투에이(H2A)’는 2003년 11월 29일 부스터를 분리하지 못해 궤도에 오르기 위한 속도를 얻지 못하면서 강제로 폭발됐다.

▲발사체 1ㆍ2ㆍ3단 엔진을 각각 영국ㆍ프랑스ㆍ독일제로 장착했던 ‘유로파(Europa)’는 1961년부터 1971년 사업이 종료될 때까지 부분적인 발사시험을 포함해 11번의 발사시도 중 7번의 실패를 맛봤다. 1968년 첫 위성 발사시험을 비롯해 1ㆍ2ㆍ3단 엔진을 모두 사용한 테스트에서는 단 한 번의 성공도 이뤄내지 못했다.

▲중국은 ‘DF-4’ 탄도 미사일을 개량해 우주 발사체 ‘씨제트-1(CZ-1)’을 제작했지만 1969년 첫 발사시험에서 발사 69초 만에 문제가 생기면서 우주 궤도 진입의 꿈을 접어야 했다. 이 발사체는 총 4번의 발사 중 2번의 실패를 기록했다. 또 ‘씨제트-3B(CZ-3B)’는 1996년 2월 14일 발사되자마자 경로를 이탈한 뒤 22초 후 지상에 추락해 마을 주민과 군인 등 59명이 목숨을 잃었다.

▲인도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에스엘브이(SLV)’는 1979년 첫 발사 시험에서 발사체 제어에 문제가 생기면서 우주 진입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유럽의 ‘아리안5(Ariane 5)’는 1996년 6월 4일 첫 비행 발사 36초 만에 급격한 궤도 이탈 후 과도한 공력을 받아 비행 중에 분해됐다.

▲브라질의 ‘브이엘에스(VLS)’는 관측 로켓에서 시작해 우주발사체로 개량된 발사체로 부스터 및 1,2,3단이 모두 고체로켓으로 구성됐으나 1997년, 1999년 2번의 발사에 모두 실패하고, 2003년 8월에는 발사를 3일 앞두고 고체 모터 중 하나가 점화돼 21명이 사망했다.

▲러시아의 ‘소유즈(Soyuz 11A511U)’도 2002년 연료 펌프 시스템의 과산화수소 오염에 의한 엔진 폭발로 발사 29초 후 폭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