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위험시설 비상] 수해위험 현장을 가다

[장마철 위험시설 비상] 수해위험 현장을 가다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사 절반도 못했는데… 水魔 또 덮칠라 ‘가슴앓이’

장마가 시작됐다. 산사태와 범람이 예상되는 곳이 한두 곳이 아니다. 특히 지난해 물난리를 겪고도 아직 공사를 마치지 못해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곳이 많다. 4대강사업으로 파헤쳐진 강가도 걱정스럽다. 수해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현장을 찾아가 봤다.

■4대강 구간 임시물막이 13곳 철거

4대강 살리기 사업 구간 6곳에 이달부터 수문 12개가 차례로 들어서는 데 이어 가물막이(임시물막이) 13곳이 장마철 피해가 우려돼 철거된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싸고 정치권의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공사는 예정보다 속도를 내면서 본격화하고 있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는 장마로 인해 4대강으로 빗물이 들어오면 가물막이가 물의 흐름을 막아 범람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 가물막이 16곳 가운데 13곳을 철거하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낙동가의 함안보, 합천보, 강정보는 철거하지 않는다.

국토부 관계자는 “한강의 이포보와 금강의 금남보, 금강보, 낙동강의 칠곡보, 구미보, 낙단보 등 현재 공사 중인 수문은 가물막이가 설치된 가동보 구간으로, 가물막이를 없애기 전에 수문을 만들지 않으면 홍수기가 지나고 나서 다시 물을 막아야 해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늘어난다.”고 말했다.

가물막이는 낙동강 상주보의 경우 지난 15일 철거했고, 한강 강천보와 낙동강 달성·구미·낙단보에서는 이날 작업이 끝났다. 이어 한강 이포·여주보와 영산강 죽산·승촌보에선 25~26일 철거공사가 진행된다. 또 금강 부여·금강·금남보와 낙동강 칠곡보의 가물막이는 30일까지 없애기로 했다. 취수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남겨두기로 한 낙동강 3개 보의 가물막이도 상단부를 6~9m가량 깎아내 물 흐름을 막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아울러 퇴적된 흙을 퍼내는 작업에도 속도를 내 지난 18일까지 1억 600만㎥를 준설한 데 이어 이달 말까지 1400만㎥를 더 퍼낼 계획이다. 강 둔치에 임시로 쌓아놓은 준설토가 장마철에 강으로 흘러들지 않도록 농경지나 골재적치장 등 하천 밖으로 실어나르고 있다. 이와 함께 성토한 흙이 비에 유실되지 않도록 비탈면과 배수시설 등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6-2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