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통신·해양 기능 탑재… 첫 국산 정지위성 ‘천리안’ 24일 발사

기상·통신·해양 기능 탑재… 첫 국산 정지위성 ‘천리안’ 24일 발사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이 오는 24일 발사된다. 통신·해양·기상관측 기능을 탑재한 천리안이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차세대 통신서비스 및 해양 관측의 유리한 위치를 갖게 되는 것은 물론, 기상 예보 시간도 현재의 3분의1 수준으로 단축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국가우주개발사업 시작 후 처음 개발한 천리안 위성이 24일 발사를 앞두고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쿠르 발사장에서 아리안 발사체 상단에 조립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국가우주개발사업 시작 후 처음 개발한 천리안 위성이 24일 발사를 앞두고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쿠르 발사장에서 아리안 발사체 상단에 조립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일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천리안 위성이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르발사장에서 위성체 연료충전을 마치고 동시 탑재되는 아랍샛(Arabsat) 5A 위성과 함께 아리안 발사체와 조립을 마쳤다.

통신·해양·기상 3가지 복합 기능을 탑재한 천리안은 동경 128.2도, 적도 상공 3만 6000㎞에서 앞으로 7년간 하루 24시간 위성통신 서비스와 한반도 주변의 해양 및 기상 관측 임무를 맡게 된다. 천리안을 탑재한 발사체는 24일 오전 6시41~7시45분(한국시각) 사이에 발사될 예정이다.

천리안이 성공적인 발사를 마치고 약 2주 뒤에 무사히 우주 인증을 마치면, 우리나라는 세계 10번째 통신위성 자체 개발국의 지위를 얻게 된다. 이를 통해 상업용 위성의 80%를 차지하는 정지궤도위성 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적도 상공의 위성 선점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한반도 관측에 안정적인 궤도를 확보함에 따라 연간 1300억원의 기술 수출 및 위성 수입 대체 효과도 예상되고 있다.

천리안은 해양 관측 기능을 통해 365일 한반도 주변 바다를 관측하며 해양 환경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현재 중국, 일본과 독도, 이어도의 해양 영토 분쟁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성을 통한 고급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수산자원 관측을 통해 어업 자원 확보에도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현재 정지궤도 해양관측 위성을 운용하는 국가는 한국이 최초다. 이 분야 경쟁국인 미국과 프랑스 등에 앞서 선도적인 지위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분야는 기상 관측이다. 현재 한국은 일본과 미국의 기상 위성으로부터 30분 간격으로 한반도 주변의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있어 급변하는 기상 이변을 예측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천리안이 한반도 상공에서 최대 8분 간격으로 실시간 기상 정보를 보내주면 장마철 게릴라성 폭우 같은 기상위험도 예측이 가능해진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6-21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