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 금연구역 지정 찬성률 68%

길거리 금연구역 지정 찬성률 68%

입력 2010-07-17 00:00
업데이트 2010-07-17 1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길거리와 주거지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데 대해 세명중 두명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의 성인 남녀 3천명을 대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금연조례 제정과 관련해 국민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길거리와 주거지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데 대해 응답자의 67.9%,65.5%가 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어린이보호구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데 대해서는 찬성률이 94.3%에 이르렀고 버스정류장은 83.8%,공원 및 놀이터는 83.7%,관광지는 79.9%,횡단보도는 73.9%에 달했다.

 이밖에도 주차장이나 음식점,관공서 건물에도 금연구역을 지정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이 있었다.

 복지부는 이에 따라 지자체의 금연구역 지정,집행 및 단속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자체 특성에 따른 실외 금연구역 지정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치단체 금연조례 제정을 위한 권고기준’을 마련해 배포했다.

 복지부는 금연 및 흡연구역을 나눠 지정해야 하는 필수 시설 외에도 공원 및 놀이터나 거리.광장,학교 정화구역,버스.택시 정류장,도서관,아파트 등 금연구역 지정이 필요한 장소를 자치단체 특성에 따라 조례로 지정토록 했다.

 오는 8월28일부터 개정 국민건강증진법이 시행됨에 따라 지자체는 실외에도 금연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갖게 됐고 금연구역에서 흡연 시 1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금연조례가 제정된 지자체는 서울,부산,충남,전북,경남 등 7개 광역자치단체와 79개 기초자치단체이며 부산동구 등 9개 지자체는 제정을 준비중이다.

 아울러 지역주민이 조례로 지정한 금연구역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충분히 계도 기간을 가질 것을 지자체에 당부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공중이용시설의 전면 금연구역화 등 금연구역 확대,흡연경고그림 도입 등 비가격 금연정책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