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연귀국 왜?

돌연귀국 왜?

입력 2011-02-25 00:00
업데이트 2011-02-2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년 만에 돌아온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입국 배경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박연차 게이트 수사가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검찰의 잇단 출두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고, 부인의 위중한 수술에도 미국에서 버텼기 때문이다. 정치권은 여·야가 상반된 반응이었지만 한 전 청장의 입국을 예의 주시하는 모습이다.

검찰은 그동안 미국 뉴욕주 올버니에 있는 뉴욕주립대에서 방문교수로 있던 한 전 청장에게 귀국을 종용해 왔다. 이에 한 전 청장의 귀국설이 몇 차례 나돌았으나 모두 무위로 돌아갔다. 이런 연유로 한 전 청장이 이명박 정권의 임기 내에서는 돌아오지 않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기도 했다.

하지만 한 전 청장이 돌연 귀국하면서 법조계 일각에선 그가 검찰 수사를 앞두고 미국에 머물던 2년 동안 수사 방향과 향후 계획에 대해 면밀히 조율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한 전 국세청장이 의혹을 많이 받지만 검찰 수사의 대상은 그림 로비”라며 “이번 정권이 아직 힘이 있는 동안 한 전 청장이 자신에게 쏠린 의혹을 정리하고 가는 것이 낫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요컨대 한 전 청장이 여러 가지 다른 의혹에 대해 정권 실세와 조율, 면죄부를 받는 조건으로 귀국했다는 것이다. 그의 입국이 타이밍을 적절하게 잡은 기획성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동반 출국했던 부인 김씨가 입국해 2009년 12월 암 수술을 받는 동안 한 전 청장의 귀국설이 나돌았을 때도 그는 귀국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정권 실세와의 사전 조율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나돌았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한 전 청장이 들어온 사정을 알 수 없다. 사전 교감은 없었다.”고 말했다. 한 전 청장의 한 지인은 “민주당이 고발한 것에 대한 마무리 수사 차원인 것 같다.”면서 “새로 나올 것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다른 쪽에서는 한 전 청장이 궁지에 몰려 입국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장기간의 해외 도피 생활로 자금이 떨어지고, 생활비를 지원하는 사람도 없어 힘들었기 때문 아니냐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해외 도피 생활을 하는 이들이 오래 버티지는 못하더라. 생활이 말이 아니고 언제 끝날지 모르지 않느냐.”며 벽에 부딪힌 한 전 청장이 귀국을 결심한 배경으로 풀이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1-02-25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