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사법·행정 고위직 70% 재산 늘었다

입법·사법·행정 고위직 70% 재산 늘었다

입력 2011-03-25 00:00
업데이트 2011-03-25 08: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부동산 가격 상승과 주식시장 활황 등 영향으로 입법·사법·행정 고위직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ㆍ대법원ㆍ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지난해 12월31일 현재 고위직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공개 대상자 2천275명 중 종전 신고 때에 비해 재산이 늘어난 경우는 1천589명(69.8%)이다.

박희태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야 의원 292명 중에는 219명(75.0%)의 재산이 증가했고 평균 재산 증가액은 2억5천만원(한나라당 정몽준 의원 제외시)이다.

여야 의원들 가운데 재산이 늘어난 경우 평균 재산 증가액은 4억4천314만원(정몽준 의원 제외시)이고 재산이 줄어든 경우 평균 재산 감소액은 3억3천352만원이다.

재산이 증가한 의원을 정당별로 보면 ▲한나라당 123명 ▲민주당 68명 ▲자유선진당 11명 ▲미래희망연대 6명 ▲민주노동당 5명 ▲무소속 4명 ▲창조한국당, 국민중심연합 각 1명 씩이다.

재산을 가장 많이 불린 의원은 한나라당 정몽준 의원으로 작년 한해 2조2천207억4천586만원이 늘어났다. 이어 김호연 윤상현 조진형 정의화(이상 한나라당), 최인기(민주) 이용경(창조한국) 배영식(한나라) 윤상일(미래희망연대) 김영환(민주) 의원이 재산증가 상위 10걸에 이름을 올렸다.

재산 총액에서는 한나라당 정몽준 의원이 3조6천709억원으로 전체 의원 중 1위에 올랐고 이어 같은 당 ▲김호연(2천105억원) ▲조진형(946억원) ▲김세연(826억원) ▲윤상현(213억원) 의원 등 순이다.

중앙부처 1급 이상과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교육감 등 고위 공직자 1천831명은 1년전 혹은 6.2 지방선거 직후 등 종전 신고 때에 비해 재산이 늘어난 비율이 1천239명(67.7%)이다.

이들의 평균 재산 증가액은 4천만원이고 평균 재산액은 11억8천만원이다.

올해 신고된 재산이 늘어난 주 요인은 부동산 가격과 주가의 동반 상승인 것으로 윤리위는 분석했다.

지난해 재산공개 때는 부동산 시장 침체 등 여파로 재산이 전년 보다 평균 1천200만원 감소했었다.

사법부 고위 인사들의 경우 고등법원 부장판사 이상 고위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152명 중 131명(86.2%)의 재산이 증가했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공개 대상 10명 가운데 이동흡 재판관을 제외하고는 전원 재산이 늘었으며 평균 증가액은 2억7천만원이고 평균 재산은 38억9천만원이다.

행정부 공직자로 분류된 검찰 고위급들까지 포함하면 전체 법조 고위직 210명 중 184명(87.6%)의 재산이 증가했고 평균 증가액은 1억7천600만원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