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돌아 온다는 건 시나리오 기류 주방향은 여전히 편서풍”

“북극 돌아 온다는 건 시나리오 기류 주방향은 여전히 편서풍”

입력 2011-03-29 00:00
업데이트 2011-03-29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상청 “추가조사 필요”

기상청은 ‘방사성물질이 국내로 유입될 수 있는 새로운 이동 경로가 있을 수 있다.’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주장에 대해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단언할 수 없는 단계”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기상청은 “캄차카반도를 거쳐 북극을 돌아 방사성물질이 유입됐다는 KINS의 추정이 정확한 것인지 검토하고 있다.”면서 “북극을 돌아서 온다는 것은 시나리오 단계다. 기류의 주된 방향이 편서풍인 것은 변함이 없다.”고 28일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기상청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사고가 난 지 2주가 넘어 이번에 검출된 방사성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빠르게 이동한 것인지, KINS의 주장처럼 또 다른 루트가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상청은 원전사고 당시 누출된 방사성물질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2주 만에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시기상으로 사고 발생 2주가 지나 북동진한 방사성물질이 캄차카반도와 알래스카, 북극을 거쳐 한반도로 올 가능성이 완전히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빠른 편서풍을 타도 이때쯤 도달한다.”면서 “설령 북극을 통한 루트로 우리나라에 방사성물질이 유입된다고 해도 1만㎞ 이상을 돌아오기 때문에 양은 극히 적을 것”이라고 밝혀 유입 가능성 제로(0)라던 종전 입장에서 후퇴했다.

북극을 통해 방사성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낮다는 기상청과 비슷한 입장을 보이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이동인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객관적으로 기상청 발표가 맞는 것 같다.”면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겠지만 미국 환경청의 역추적 모델을 살펴봐도 방사성물질이 동에서 서로 이동한 것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기상청 예보정책과 유희동 박사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지만 기상학적 상식으로는 나오기 힘든 루트”라며 KINS의 북극루트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동현·윤샘이나기자 moses@seoul.co.kr
2011-03-2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