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들 발길 뜸하지만… 부모들 ‘내리사랑’ 여전

자식들 발길 뜸하지만… 부모들 ‘내리사랑’ 여전

입력 2011-05-07 00:00
업데이트 2011-05-0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모의 자식 사랑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부모를 자주 찾지 않아도 부모 10명 중 7명은 “(자녀에게) 만족합니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자녀들은 부모에 대한 만족도에서 물음표를 던지는 수가 적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6일 통계청이 지난해 5월 전국 15세 인구 가운데 3만 7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가족관계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부모들은 72.2%가 만족, 23.6%가 보통, 4.3%가 불만족이라고 응답했다. 반대로 ‘자기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서 자녀들은 63.2%가 만족, 31.5%가 보통, 5.3%가 불만족이라고 답했다. 만족도는 부모가 9% 포인트 높았고, 관계가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비율은 자녀가 7.9% 포인트 많았다. 불만족 비율도 자녀가 1% 포인트 더 높았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마음이 부모에 대한 자녀의 마음보다 더 깊다는 것을 보여 주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그렇지만 부모와 떨어져 사는 자녀가 명절, 어버이날, 경조사일 등에 부모를 찾는 발길이 해가 갈수록 뜸해지고 있다. 자녀를 찾는 부모의 발걸음도 예전처럼 가볍지만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난과 초혼 연령의 상승, 부모와의 갈등과 아울러 부모 부양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따로 사는 부모와의 연평균 왕래 횟수는 2006년 34.8회, 2007년 33.9회, 2008년 33.8회, 2009년 33.0회로 점점 줄고 있다.

위 조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한국복지패널조사 설문으로 15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표본 추출한 3만 가구 가운데 부모와 떨어져 사는 7072가구의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전남 화순이 고향인 조영수(29)씨는 요즘 명절 아니면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찾기가 쉽지 않다. 취업 전에는 어버이날, 부모님 생일, 제사 등에 빠지지 않고 고향을 찾았다는 조씨는 “지금은 일이 바빠 그럴 사정이 못 된다.”고 말했다.

홍전희 건국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부모와 왕래가 뜸해진 것은 사는 곳, 즉 거리의 문제라기보다 부모 부양 의무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생계 등 경제적 문제, 그리고 스마트폰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의 발달 등이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면서 “효사상 교육을 통한 가족애의 회복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1-05-0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