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80% “중학교 때 수학선행 사교육 받았다”

고1 80% “중학교 때 수학선행 사교육 받았다”

입력 2011-06-08 00:00
업데이트 2011-06-08 14: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단체 8천여명 설문…”자사고 상위권 쏠림현상 심해”



고등학교 1학년생 10명 중 8명이 중학교 때 수학 선행학습을 위해 사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교육단체인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이하 사없세)’은 민주당 김춘진 의원실과 함께 전국의 고1 8천13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중 80.7%가 수학 선행 사교육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학교별로는 자립형 사립고(97.2%)와 과학영재고(95.9%), 외국어고(93.8%) 등 상위학생들이 몰리는 곳의 수학 선행학습 비율이 90% 이상이었고, 일반고도 72.6%에 달했다.

선행학습의 진도에 관해서는 과학영재고 1학년생의 40%가 입학 전에 고교 2학년 과정 이상을 배웠고, 국제고와 외고도 각각 60%와 54%가 고교 1학년 2학기 진도까지를 미리 공부했으며, 자립형 사립고 학생 중 55%도 입학 전에 고교 2학년 과정을 끝냈다고 답했다.

사없세 관계자는 “3년 과정을 2년에 끝내는 수학 교과 운영과 수준별 학습 등의 부담으로 선행학습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가 이 문제를 그대로 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자신의 중학교 시절 성적을 묻는 항목에서는 자립형 사립고에 재학하는 응답자의 83.9%가 ‘상위 5%’라고 답해 이런 학생의 비율이 5.7%에 그친 일반고와 큰 격차를 보였다.

그 외 상위 5% 학생의 비율은 외고가 53.8%, 비평준화 지역과 평준화 지역의 자율형 사립고가 각각 62.4%와 17.9% 였다.

대학의 입학사정관 제도와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48%가 면접과 서류 등에 대비한 사교육이 필요할 것 같다고 답했고, 수능 부담을 줄이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는 48%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