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예산 ‘반토막’…대전시·정치권 반발

과학벨트 예산 ‘반토막’…대전시·정치권 반발

입력 2011-08-03 00:00
업데이트 2011-08-03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과 관련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여름 휴가중인 염홍철 대전시장은 3일 시 과학기술특화산업추진본부 등 유관 실국에 전화를 걸어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내년 과학벨트 예산을 당초보다 삭감해 심의·의결한 것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전날 발표한 국가 R&D 내년 예산에 과학벨트 사업비를 당초 교과부가 요구했던 4천100억원의 절반 정도인 2천100억원만 반영했다.

염 시장은 “정부는 연구단이 내년 6월부터 활동하는 만큼 6개월의 비용만 반영해 예산을 편성한 것이므로 과학벨트 사업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연구단과 관계없는 중이온가속기 예산까지 삭감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대전시당도 이날 논평을 내고 “정부와 한나라당의 과학벨트 성공추진 다짐은 헛구호였음이 드러났다”면서 “정부가 과학벨트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할 의지가 있는지조차 의심케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욱이 이번 국과위의 예산 배정에서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아 지방정부에 떠넘기려는 속셈이 아닌지 우려된다”면서 “이번 과학벨트 예산 삭감위기는 엉뚱한 밥그릇 싸움만 벌이고 있는 충청 정치권의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은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가 과학벨트 거점·기능지구를 선정하면서 함께 발표했던 예산 규모였는데 이를 대폭 축소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정부는 과학벨트 관련 예산을 계획대로 반영해야 하며 특히 거점지구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예산은 전액 관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