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복원 거북선ㆍ판옥선에 수입목 81% 사용

원형복원 거북선ㆍ판옥선에 수입목 81% 사용

입력 2011-09-08 00:00
업데이트 2011-09-08 13: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목재구입비 10억 차익 남겨”…건조업체 대표 구속영장 신청

경남도가 고증을 거쳐 처음으로 3층 구조로 원형복원한 거북선과 판옥선에 사용된 목재의 81%가 국내산 소나무가 아닌 수입 목재로 드러났다.

통영해양경찰서는 8일 거북선 관련 의혹수사 브리핑에서 금강중공업이 거북선과 판옥선을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한 목재 21만8천840재(1재는 너비 3.03㎝×두께 3.03㎝×길이 3.6m) 가운데 81%인 17만7천805재가 수입 목재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해경은 금강중공업이 구입한 목재 비용은 국내산 6천600여만원, 수입산 5억8천800여만원이었다고 설명했다.

국내산 목재의 가격이 수입산에 비해 3배 정도 비싸다고 해경은 덧붙였다.

설계에 명시된 목재 구입비는 17억원이었으나 실제로는 6억5천400여만원만 사용해 금강중공업은 10억여원의 차익을 남겼다고 해경은 밝혔다.

거북선과 판옥선을 건조한 금강중공업 대표 전모(51)씨는 설계 내역서에 맞는 규격의 국내산 소나무는 사실상 구하기 힘들고 벌목비와 운송비를 고려하면 수익성이 없어 저가의 수입목재를 사용했다고 진술했다고 해경은 전했다.

해경의 조사결과 전씨는 수입목재 사용을 감추기 위해 국내산 소나무로만 샘플을 만들어 국립산림과학원에 수종 분석을 의뢰, 그 결과를 사업 발주처인 경남도개발공사 등에 제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전씨에 대해 사기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감리사 김모(75)씨는 사기방조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전씨는 이날 기자들에게 “억울하다. (수입목재 사용은) 도청과 개발공사도 그 전부터 다 알고 있던 일이다”며 “설계변경 요청도 했지만 담당 공무원이 묵인을 하고 여기까지 온 것이다”고 주장했다.

경찰은 감독기관인 경남도개발공사와 경남도가 수입목재 사용을 미리 알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업무 담당자와 결재권자의 진술이 엇갈려 대질신문 등을 통해 구체적인 정황을 밝힐 계획이다.

통영해양경찰서 강영덕 수사과장은 “원형복원 사업은 철저한 역사적 고증을 거쳐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복원하는 데에 취지가 있다”며 “감독기관인 경남도와 개발공사 담당자를 상대로 수입목재 사용을 알게 된 시점과 이후 후속 조치에 대해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이순신 프로젝트’의 하나로 3층 구조의 거북선과 판옥선을 1척씩 건조하기로 하고 지난해 3월 33억여원에 충남 서천의 금강중공업에 제작을 의뢰, 1년여 만에 준공했다.

이 판옥선과 거북선은 지난달 17일 예인선에 이끌려 각각 통영과 거제에 닻을 내렸으며 인수와 준공절차를 거쳐 관광상품과 교육자료로 활용될 계획이지만 수입목재 사용 논란으로 준공검사와 인수가 연기된 상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해경의 요청에 따라 거북선과 판옥선에서 채취한 시료 26개를 검사했는데 모두 국산 소나무가 아닌 북미산 침엽수로 드러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