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자녀 부양기피땐 복지급여”

대법 “자녀 부양기피땐 복지급여”

입력 2011-10-31 00:00
업데이트 2011-10-31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양 의무가 있는 자녀가 연락을 끊고 경제적 지원을 하지 않는 사실이 확인된 저소득층에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급여를 제공해야 한다는 대법원 확정 판결이 나왔다. 생계 곤란을 겪는데도 주민등록상 부양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생활보호 대상에서 제외되는 잠재적 차상위계층도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대법원 1부(주심 이인복 대법관)는 주민등록상 부양 의무자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생활보호 대상에서 제외된 권모(68·여)씨가 대구 달서구청장을 상대로 낸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부적합 결정 처분 취소 청구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남편의 사업이 부도나면서 생계난을 겪던 권씨는 지난해 4월 대구 달서구청에 “소득 인정액이 15만여원으로, 2인 가구 기준인 85만 8747원에 크게 못 미친다.”면서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 신청을 했다. 그러나 달서구는 권씨 장남의 재산 5000여만원과 가구 월소득 700만원 등을 이유로 권씨의 신청이 부적합하다며 거부했다.

이민영기자 min@seoul.co.kr

2011-10-31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