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퀵서비스 기사도 내년부터 산재보험

택배·퀵서비스 기사도 내년부터 산재보험

입력 2011-11-04 00:00
업데이트 2011-11-04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5월부터 택배기사, 퀵서비스 기사 13만여명에게도 산재보험이 적용된다.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택배기사와 퀵서비스 기사들은 배달 중 사고를 당할 경우 치료 비용과 일을 하지 못하는 기간의 급여를 받을 수 있고 사망 시에는 유족들이 생계비를 지원받는다.

산재보험 적용 방식은 사업주와의 전속성 여부에 따라 구분된다.

택배기사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특례방식에 따라 사업주와 종사자가 보험료를 절반씩 부담하고 당연 가입 형태로 운영된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는 보험설계사, 학습지 교사와 같이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아 업무상 재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는 종사자이다.

퀵서비스 기사는 1개 업체에 전속된 경우에는 택배기사와 같은 방식으로 사업주와 종사자가 보험료를 절반씩 부담한다.

하지만 퀵서비스 기사가 여러 업체의 주문 물량을 배송하는 경우에는 개인사업주로 간주돼 중소기업 사업주 특례방식에 따라 보험료를 본인이 부담하되 임의 가입 형태로 운영된다.

이번 조치로 그동안 하루 평균 12시간 이상의 장시간 근무로 사고위험이 높아 민간보험 가입조차 어려웠던 택배·퀵서비스 기사들의 근무 환경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개정안에 따라 택배기사 3만여명, 퀵서비스 기사 10만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고용부는 예상했다.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조치가 어려운 여건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산재보험 적용이 필요한 분야를 다각적으로 연구,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